earticle

논문검색

Herzberg의 동기요인이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Herzberg's Motivation Factors on the Job Satisfaction of Police Officials

김동록, 이상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need to find out what satisfaction factors police officials feel when performing their duties and to find ways to maximize satisfaction factors for their duties.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in the performance of the duties of police officials, it is intended to identify the factors of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based on Herzberg's motivational theory, which is considered to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job satisfaction research. Thus, th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will be analyzed and motivators divided into sub-variables to demonstrate how each affects job satisfaction through empirical method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more effective policies and establishing more effective and effective policies by providing a new framework for research to follow-up researchers on job satisfaction in the future and identifying factors accessible through Herzberg's motivational theory in job satisfaction. Studies have shown that the higher the "growth potential," "promotion," "achievement" and "compliment and recognitio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confirming that there is a static causal relationship. In particular, when we checked the standardized regression coefficient,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as relatively high in the order of achievement (β =.347), promotion (β =.194), growth potential (β =.099), and praise and recognition (β =.009).

한국어

이 연구에서는 현재 경찰공무원이 직무수행 시 느끼는 만족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직무에 대 한 만족요인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에 의해 연구하였다. 경찰공무원의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 만족요인과 불만족요인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직무만족 연구 의 발전에 기여하였다고 평가받고 있는 Herzberg의 동기이론에 근거하여 만족요인과 불만족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에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동기요인을 하위변수로 나누어 각각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 방법을 통해 증명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과 관련한 후속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연구의 틀을 제공하고, 직무만족에 있어 Herzberg의 동기이론으로 접근 가능한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보다 효과 적인 정책을 개발하고 적실성과 효과성 있는 정책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결과 ‘성장가능성’, ‘승진’, ‘성취감’, ‘칭찬·인정’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 타나 정적인 인과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표준화 회귀계수를 확인해 보았을 때, ‘성취감(β =.347)’, ‘승진(β =.194)’, ‘성장가능성(β =.099)’, ‘칭찬·인정(β =.009)’ 순으로 직무만족도에 미 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VI.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예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동록 Dong-Rok, Kim. 동국대학교(서울) 일반대학원 경찰행정학과, 경찰학 석사
  • 이상훈 Sang-Hun, Lee. 신라대학교 공공인재학부 경찰학전공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