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Communication Index and Efficiency Evaluation of Regional Governments : Application of DEA, SEM, Super-SBM Models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communication administration services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using DEA techniques for 17 Local governments in Korea. The input indicators include the number of civil servants and the general appropriation budget (public administration budget), and the output indicators include civil service activities, life satisfaction, volunteer participation rate, and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rate. Communication efficiency was measured by DEA-CCR, BCC, SEM, and Super-SBM models, and the ranking of each local government was presented using the super-efficiency valu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efficiency was not high as 17.5% in 2015, 23.5% in 2016, and 17.5% in 2017. Second, the difference in efficiency among local governments is due to pure technical efficiency. Third, communication efficiency was the highest in Sejong City, followed by Gangwon and Jeonnam, and Gyeonggi and Incheon were the lowest. Fourth, the factors affecting communication efficiency were the civil affairs processing and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rate. In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communication efficiency, it is necessary to secure a communication index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In addition, in order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ctivities, it is required to continuously collect opinions from residents, establish a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use social network service(SNS)
한국어
본 연구는 우리나라 17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DEA, SEM, Super-SBM 기법을 이용하여 지방자치단체와 주민 간의 소통행정서비스에 대한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시정 및 도정 백서, 시도별 통계연감, 사회지표(2017~2019)에 나타난 평가지표를 분석, 소통지수를 발췌하여 광역시도별로 소통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투입지표로는 공무원 수(공무원 1인당 주민 수), 일반세출예산(공공행정예산)이며, 산출지 표로는 민원사무처리, 삶의 만족도, 자원봉사활동 참여율, 사회단체 참여율 등 6개이다. 소통 효율성 및 초효율성은 DEA-CCR, BCC모형, SEM모형, Super-SBM모형으로 측정 하였고, 초효율성 값을 이용하여 광역지방자치단체 간의 순위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소통 효율성은 2015년 17.5%, 2016년 23.5%, 2017년 17.5%로 높지 않았 다. 둘째, 광역지방자치단체 간의 효율성의 차이는 순수기술적 효율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통 효율성은 세종시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강원, 전남의 순위며, 경기 와 인천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비효율적인 경기의 경우, 공무원 수를 26.1%를 줄이고, 다른 산출 요소는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넷째, 소통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민원사무처리 활동, 사회활동 참여율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적으로 소통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도시 특성에 맞는 소통지수를 확보하는 노력이 필 요하다. 또한, 소통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주민 의견수렴, 소통 인프라 구축, SNS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소통효율성과 선행연구
1. 공공행정에서의 소통, 소통효율성
2. 선행연구
Ⅲ. 공공기관의 소통효율성 평가모형
1. 모형 개요
2. DEA 분석모형
3. SEM 분석모형(초효율성)
4. Super-SBM 분석모형
Ⅳ. 광역자치단체의 소통효율성 평가
1. 적용사례
2. 투입 및 산출요소
3. 자료 및 분석방법
4. 측정결과
Ⅴ. 종합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