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성리학자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검토(4) - 박세채의 「왕양명학변」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Review of Critical Perceptions of Yang-Ming Studies by Neo-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4) - Focusing on Park Se-Chae's "Wang Yangming's Scholarly Discrimination (王陽明學辨)" -

전수연, 김민재, 김용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ritical perception of Yang-Ming Studies by Park Se-Chae(朴世采), who was pointed out as the leader of "Soryon(小論)".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Joseon had a Neo-Confucianism(朱子學), view of Ritual theory(禮學) and at the same time a Post Neo-Confucianism(脫朱子學) trend was taking place. Therefore, the conflict and differentiation between the nobility were also intensifying due to the perception of the times based on academic differences. In Joseon academia, Yang-Ming Studies was regarded to have inherited Lu Jiuyuan's(陸九淵) Xinjili(心卽理), and had been dismissed as a Soenhak(禪學) ever since Yi Hwang's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In addition to this situation, Park Se-Chae was concerned that Joseon would become like Ming Dynasty, seeing that the Confucianism of the Ming Dynasty had not flousrished since Lu-Wang xue(陸王學) became popular. For this reason, Park Se-Chae's academic tendency had grown to reject heresy, which valued Confucian Orthodoxy(道統) Meanwhile, his disciple Jeong Je-Du(鄭齊斗) studied Yang-Ming Studies by himself and established an academic system based on it, delivering his views to his teacher, Pak Se-chae. As Jeongjedu(鄭齊斗) established an academic system, Park Se-Chae had to respond logically, and the result was the "Wang Yangming's Scholarly Discrimination(王陽明學辨)". In the "Wang Yangming's Scholarly Discrimination" Park Se-Chae conducted a series of arguments for the "the Ancient Text Daxue(古本大學)", "Daxuewen(大學問)", "Zhiliangzhi(致良知)" and "Zhu xi in later life(朱子晩年定論)". This is a criticism of Wang Shouren(王守仁)'s entire academic development process, which wa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Yang-Ming Studies's starting point and collectivity, the gap between Yang-Ming Studies and Neo-Confucianism. He, Park Se-Chae, also presented selected premises from Wang Shouren's collection of writings and refuted them carefully, ranging from "Gewu(格物)" to "Zhiliangzhi" a key element of Yang-Ming Studies. Park Se-Chae's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also came down to the perspective that 'Yang-Ming Studies is Soenhak’ as Yi Hwang's alteration. However, the following three distinctions had been ensured : ① the analysis of 'Zhiliangzhi' was attempted, ② Wang Shouren's works were selected as a target of criticism, ③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was derived after reading Wang Shouren’s collection of writings. As a result, the transformation of Park Se-Chae rather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Jeong Je-doo to develop his own theoretical system for Yang-Ming Studies,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Ganghwa school(江華學派) representing Korean Yang-Ming Studie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소론의 영수로 지목되었던 남계 박세채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17~18세기의 조선에서는 예학에 대한 주자학적 관점의 천착과 동시에 탈주자학적 경향의 학풍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리고 학술적 견해 차이에 근거한 시대 인식으로 인해 사대부 간의 갈등과 분화 역시 한층 심해지고 있었다. 조선 학계에서 양명학은 육구연의 심즉리 계보를 계승한 것으로 판단되어, 이황의 양명학 비판 이후로 줄곧 ‘선학(禪學)’으로 치부되었다. 이런 상황에 더하여 박세채는 육왕학이 유행한 이후로 명나라의 유풍(儒風)이 일어나지 못한 것을 보면서, 조선도 명나라처럼 되는 것이 아닐까 우려했다. 이 같은 이유로 박세채의 학문성향은 도통을 중시하는 벽이단적 성향을 띄게 되었다. 한편 그의 제자인 정제두는 홀로 양명학을 탐독한 후 이를 토대로 학술체계를 세웠으며, 자신의 견해를 스승인 박세채에게 전하였다. 정제두가 학술체계를 세운 만큼 박세채도 논리적으로 대응해야 했는데, 그 결과물이 바로 「왕양명학변」이다. 「왕양명학변」에서 박세채는 󰡔대학고본󰡕, 「대학문」, ‘치양지’, 「주자만년정론」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변론을 진행한다. 이것은 양명학의 출발점과 집대성, 다시 말해 양명학과 주자학이 괴리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왕수인의 학술 전개 과정 전부를 변척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또한 ‘격물’에서부터 양명학의 요체인 ‘치양지’에 이르기까지 왕수인의 문집으로부터 선별한 전거를 제시하고 그에 대해 반박하면서 치밀하게 비판하고 있다. 박세채의 양명학 비판도 비록 이황의 변척과 마찬가지로 ‘양명학은 선학이다.’라는 관점으로 귀결되지만, ① 치양지에 대한 분석이 시도된 점, ② 왕수인 만년 시기의 저술을 비판의 대상으로 선정한 점, ③ 양명학에 대한 비판을 왕수인의 문집까지 탐독한 후 도출하였다는 점 등에서 차별성을 확보한다. 결과적으로 박세채의 변척은 오히려 정제두가 양명학에 대한 고유한 이론체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양명학을 대표하는 강화학파가 형성되는 데도 일정 부분 기여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머리 말
2. 박세채 사상의 학술적 성향
1) 예학적(禮學的) 학풍
2) 숭명배청(崇明排淸)의 척화론
3) 도통의식에 근거한 벽이단(闢異端) 학풍
3. 왕수인의 ‘『대학』관’에 대한 변척
1) 왕수인의 『고본대학』 강조에 대한 비판
2) 왕수인의 「대학문」에 대한 비판
4. 치양지와 「주자만년정론」에 대한 변척
1) 왕수인의 ‘치양지’에 대한 비판
2) 왕수인의 「주자만년정론」에 대한 비판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수연 Jeon, Su-Yeon. 성신여자대학교 교양교육대학 교양학부 강사
  • 김민재 Kim, Min-Jae. 충북대학교 윤리교육과 부교수
  • 김용재 Kim, Yong-Jae. 성신여자대학교 한문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