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기해예송의 ‘사종설’에 드러난 참의미 - 송시열 ‧ 윤휴 ‧ 정약용의 입장에서 비교 연구 -

원문정보

True Meanings of ‘Sajongseol’ of Gihae Yesong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 A Comparative Study from the Positions of Song Si-yeol, Yun Hyu and Jeong Yak-yong -

심순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ing Hyeonjong, who ascended the throne after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was caught up in the first and the second Yesong (禮訟) arguments during his reigning period of 15 years. As for the manifestation of the argument, the controversy over how long King Hyojong’s stepmother, Jodaebi, should wear a mourning dress when King Hyojong died, that is, whether she must wear it for one year or wear Chamchoi (斬衰) for three years, was the first Gihae Yesong (己亥禮訟). And the controversy over how long Jodaebi who was still alive should wear a mourning dress when King Hyojong’s queen, Queen Inseon, died in the year of Gapin (甲寅, 1674) was the second Yesong argument. In this paper, the Yesong argument between Seoin (西人) and Namin (南人) was examined, which began with Song Si-yeol’s contention of Gineyonbok (朞年服) based on Gagongeon’s Sajongseol (四種說) in consideration of Hyojong’s being a second son in Gihae Yesong. In this study, first, the reasons why Song Si-yeol had chosen the theory of Ginyeon (朞年)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Sajongseol. Second, the intensity of the political conflicts between Seoin and Namin revealed through Yesong was checked as the grounds on which Yun Hyu insisted on Chamchoi, a three-year-mourning dress, were verified. Third, Dasan Jeong Yak-yong agreed to and criticized the clothing systems of Song Si-yeol and Yun Hyu in Jeongchejeonjungbyeon (正體傳重辨), but had a neutral position regarding Seoin and Namin. In this paper, the meanings of ‘Sajongseol’ were reexamined through the three persons’ opinions of a clothing system.

한국어

조선 중기 이후 왕위에 오른 현종은 15년의 재위 기간 동안 1,2차의 예송논쟁에 휘말리게 된다. 논쟁의 발로는 효종의 승하로 인하여 계모인 조대비가 입어야 할 상복을 놓고 1년 복으로 할 것인지 3년 복인 참최로 할 것인지에 대한 논쟁을 벌인 것이 기해년의 1차기해 예송이고, 효종의 왕비인 인선왕후의 갑인 년(1674) 승하 시에, 역시 생존해 있던 조대비의 복제 문제를 놓고 벌인 논쟁이 2차 예송논쟁이었다. 본고에서는 기해 예송에서 송시열은 효종이 차자임을 감안 가공언의 사종설에 의거 기년복으로 주장하며 시작된, 서인과 남인간의 예송논쟁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의 내용은 1. 송시열이 기년 설을 택한 원인을 사종설(四種說)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2. 윤휴가 3년 복인 참최를 주장한 논거를 확인하므로, 예송을 통해 드러난 서인과 남인의 정치적 갈등의 수위를 확인했다. 3. 다산정약용은 「정체전중변(正體傳重辨)」에서 송시열과 윤휴의 복제에 대한 동의와 비판을 하였으나 결국 서인‧남인에 대해서는 중간적 입장을 보였다. 본고에서는 세 사람의 복제의 견해를 통해서 ‘사종설’의 의미를 재확인하고자 했다.

목차

<한글요약문>
1. 서론
2. 조선 예제의 진행과 송시열의 기년복 주장
1) 기해(己亥) 예송논쟁 발단과 전개
3. 기해복제에 대한 윤휴의 예설
4. 다산 정약용의 ‘사종설’ 견해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심순옥 Sim, Soon-Ok. 성균관대학교 유학과 박사과정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