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Noh Susin's Theories of Mind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초록
영어
In the 16th-century Joseon Dynasty, there were two different theories of nourishing life, which were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Neo-Confucian self-cultivation and the Taoist long and immortal life, respectively. Confucian scholars’ nourishing life was based on the former perspective. Their pursuit of nourishing nature and life was mediated by the nourishment of mind. The primary goal of nourishing life is to prevent disease. In case a person has become already sick, food, Doin (physical exercise) and medicine are applied to cure sickness. Accordingly, the way of nourishing life consists in recovering and preserving life in good condition. The first step of this process is the mind control. In other words, the essence of nourishing life is not the physical exercise. The well-preserved life is founded on spiritual and inner awakening. In particular, the 16th-century Neo-Confucian scholars understood that life is completely nourished by training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theory of Li and Ki, which i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those Neo-Confucian scholars, the inside and the outside or the mind and the body [理氣] are organical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is regard, the 16th-century Neo-Confucian scholars commonly thought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sides could preserve the health of mind and body. Noh Su-shin seems to be a faithful follower of the Neo-Confucian idea of the nourishment of life. Sukheungyamaejamhae (夙興夜寐箴解) and Chisimyanguibosinchiyo (治心養胃保腎之要) clearly show his position. ukheungyamaejamhae describes details of daily cultivation of mind. This phrase conveys a clear message that the Neo-Confucian cultivation should be applied to every area of daily life and every phase of the whole life. Chisimyanguibosinchiyo presents a concrete process of securing the health of mind and body and achieving the nourishment of life in virtue of comprehensive medical knowledge. In addition, Sukheungyamaejamhae could also be fully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nourishing life.
한국어
16세기 조선에는 성리학적 수양론의 관점과 도교적 장생불사의 관점에서 제시된 두 갈래의 양생론이 존재하였다. 유자들의 양생론은 당연히 전자에 해당된다. 이들은 양심을 통한 양성과 양생을 추구하였다. 유자들이 이해했던 양생은 내외의 단련을 겸하는 것이었다. 이기론의 입장에서 보더라도 내면과 외면, 정신과 신체는 유기적 연관을 맺고 있다. 따라서 이들 간의 소통이 정신과 몸의 건강을 지키는 길이라 보는 것이 16세기 유자들의 일반 상식 이었다. 노수신 역시 이와 같은 성리학적 양생론의 문법에 충실했다. [숙흥야매잠해]와 [치심양위보신지요]를 보면 그 내용이 분명하다. [숙흥야매잠해]에서는 일상에서 실천하는 심 공부를 미시적으로 살폈다. 이 해설을 보면 생활의 전 영역에서 이 공부를 적용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분명히 전달된다. [치심양위보심지요]에서는 해박한 의학지식을 기초로 심신의 건강을 확보하여 양생에 이르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아울러 [숙흥야매잠해] 역시 양생론의 관점에서 독해하는것이 지극히 자연스로운 과정임을 확인하였다.
목차
1. 조선, 인정(人政)과 활인(活人)의 만남: 의술(醫術)은 인정(仁政)실현의 증거
2. 16세기 조선 유자들의 양생론
1) 조선 성리학의 독자성 확보
2) 조선 유자들의 양생론-양심(養心)으로부터
3. 노수신의 심론과 양생론
1) 노수신의 양심론(養心論)
2) 치심(治心)·양위(養胃)·보신(保腎)의 양생론
4. 심의 주재(主宰)에 기초한 일상 속의 양생실천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