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From 2003 to 2014
초록
영어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critically analyze published research papers 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an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field and trends. Methods : Types of studies, research trends, levels of evidence, participants, funding sources and research areas were analyzed and described by using 97 selected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3 and 2014. Results : Every 5 years, the most frequent type of study was experimental research. The numbers of experimental studies and review studies have been increasing. The most frequent level of evidence was one group non-randomized study, followed by case reports. The highest percentage of participants were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the most common diagnoses were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developmental delay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Most of the participants wa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most frequent sample size was below 10. The percentage of research grant from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has been over 50% since 2008. The research areas focusing on the standardized assessments were mostly sensory modulation, interaction and development and the non-standardized assessments were behavior observation and clinical observation. Conclusion : Higher level of studies and comprehensive research methods will be needed. The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with the high sensibility on sensory integration which developed in the domestic need to be developed. Thus,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evidence based practice in occupational therapy.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의 연구 분야와 동향을 분석하여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학회지가 발간 된 2003년부터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 2003년부터 2014년까지 학회지에 수록된 97개 연구의 형태 및 동향, 근거수준, 대상자, 연구비 지원 수혜 연구의 비율, 연구영역을 분석하였다. 결과 : 매 5년마다 연구 형태는 실험연구 비율이 가장 높았고, 실험연구와 고찰연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질적 수준을 살펴보면, 단일 집단 비무작위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사례 연구이었다. 연구 대상자는 장애아동 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는데, 그 중 전반적 발달장애와 발달지연, 지적장애 순으로 많았다. 대상자의 연령은 초등학생, 유아 순으로 많았으며, 대상자 수는 10명 이하가 가장 많았다. 2008년 이후 수록된 전체 연구 중 연구비 지원 수혜 대상 연구는 50%이었다. 표준화된 평가 중심으로 연구영역을 살펴보면, 감각조절, 상호작용, 발달 순으로 많았고, 비표준화된 평가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행동관찰과 임상관찰 순으로 많았다. 결론 : 높은 근거 수준의 연구와 다양한 연구 방법을 사용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감각통합을 측정하는 민감도가 높은 체계적인 평가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작업치 료의 근거중심실행을 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자료수집 및 분석
2. 분석 내용
Ⅲ. 연구 결과
1. 연구형태 및 동향
2. 연구의 질적 수준
3. 연구대상자
4. 연구비 수혜 연구의 비율
5. 연구영역 구분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