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외국의 인적자원개발 연구동향

원문정보

Trend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

김진모, 전영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research areas and topics in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 to identify the research's characteristics such a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the data collection method, and the statistical method, and to get some implications for the progres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 The 962 articles published from 1987 through 2004 were collected from 2 British academic journals and 3 America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human resource development. Among them, research areas, topics, and research's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specifically on 962 papers categorized as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 for adults. The data were summarized using frequencies and percentages.
The major findings acquir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① The number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search papers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since the 1980's. Also, some new academic journals about human resource development were published during the 1990's. ② In other journals except Human Resource Planning(HRP), many papers concerning the fields of training and development, organization development, and gener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were published.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papers related with career development,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others was relatively very low. ③ Implications of individual or organizational dimensions were suggested mainly rather than those of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④ The research topics of training and development pattern/method/strategy were prominent most in the research area of training and development, and the topics of individual behavior were prominent most in organization development area. Also, the research topic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function/strategy/practice/role were prominent most in the research area of gener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⑤ The portion of research on corporate employees and managers were the highest in terms of the subject of research. ⑥ Literature review research and survey research were mainly employed as the research methods. ⑦ The questionnaire was employed for the main purpose of data collection. ⑧ The portion of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 statistical methods was the highest, but that of the statistics such a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ANOVA has been higher.

한국어

이 연구는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지금까지의 외국의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인적자원개발 연구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따라서 인적자원개발 연구와 긴밀한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5개의 주요 외국학회지의 논문 962편을 대상으로 연구영역 및 주제, 연구특성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에 이용된 통계방법은 빈도와 백분율이었다. 이 연구를 통해 얻게 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외국의 인적자원개발에 관한 연구는 1980년대부터 수행되었으나, 1990년대 중․후반부터 인적자원개발 관련 학회들이 만들어지면서 더욱 활발하게 연구가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② 인적자원개발 연구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영역은 조직개발이었으며, 경력개발 영역은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한 교육훈련 영역은 1980년대 이후 급속히 증가하였다. ③ 교육훈련 관련 논문의 주제별 동향에서는 교육훈련 유형/방법/전략 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고, 조직개발 관련 논문의 주제별 동향에서는 개인행동 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다. ④ 인적자원개발 연구의 연구대상은 기업체 임직원이 가장 많았으며, 기업관련 연구대상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였다. ⑤ 연구방법에서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가 많이 사용되었다. ⑥ 자료수집방법에서는 설문지와 인터뷰가 주로 사용되었다. ⑦ 통계방법에서는 빈도/백분율, 평균/표준편차의 비중이 가장 높은 가운데, 상관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 경로분석/구조방정식 등 관계분석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었다.

목차

요약
 인적자원개발의 이해
  인적자원개발의 개념
  인적자원개발의 영역
 외국의 인적자원개발 연구에 관한 선행연구
 연구의 방법
  연구대상
  연구의 분석 틀
 자료의 수집 및 분석
  자료검색 및 수집
  자료분석
 연구결과 및 해석
  연구대상의 일반현황
  학회지별 연구영역 동향
  인적자원개발 연구의 연구영역별 동향
  교육훈련
  조직개발
  국가인적자원개발
  인적자원개발 전반
  기타
 인적자원개발 연구의 연구특성별 동향
  연구대상
  연구방법
  자료수집방법
  통계방법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진모 Jinmo Kim. 서울대학교 농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 조교수
  • 전영욱 Yeonguk Jeon. 서울대학교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