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VR 영상 조회수 결정요인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Determinants of VR Video Content Popularity

김수정, 곽찬희, 이민형, 이준영, 이희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ong with the expectation about 5G network commercialization, interests in realistic and immersive media industries such as virtual reality (VR) are increasing. However, most of studies on VR still focus on video technologies instead of factors for popularity and consumption. Thus,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meaningful factors, which affect the view counts of VR videos and to provide business implications of the content strategies for VR video creators and service providers. Using a regression analysis with 700 VR videos, this study tries to find major factors that affect the view counts of VR videos. As a result, user assessment factors such as number of likes and sicknesses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view counts. In addition, the result shows that both general information factors (video length and age) and content characteristic factors (series, one source multi use (OSMU), and category) are all influential factors. Th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recommendation and curation based on user assessments for increasing popularity and diffusion of VR video streaming.

한국어

5G 네트워크 상용화를 앞두고 가상현실(VR) 등 실감형 미디어 산업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VR 관련 기존 연구는 주로 영상 기술의 활용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고, 영상의 소비와 인기 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VR 영상의 조회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어, VR 영상 서비스 운영 및 콘텐츠 제작 측면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700개 VR 영상 대상으로 조회수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사용자 평가 요인인 좋아요 수 및 어지러워요 수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반 정보 요인인 영상 길이 및 경과일, 내용적 특성 요인인 속편 여부, 각색(One Source Multi Use; OSMU) 여부, 카테고리 등이 순서대로 조회수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VR 영상 등록자의 팔로워 수는 조회수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VR 영상의 인기 및 확산을 위해 사용자 평가를 중심으로 영상 추천 및 큐레이션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2.1 VR 영상 콘텐츠에 대한 연구
2.2 콘텐츠의 인기요인에 대한 연구
2.3 본 연구의 요인 도출
Ⅲ. 연구방법 및 절차
3.1 데이터 및 변수의 정의
3.2 다중회귀분석 모형의 수립
Ⅳ. 분석결과
4.1 기술 통계량
4.2 정규성 검정
4.3 다중공선성 진단
4.4 분석방법
4.5 회귀분석
Ⅴ. 결론 및 향후 과제
5.1 연구결과 요약
5.2 연구 의의
5.3 연구 한계 및 향후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수정 Soojeong Kim.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개발실 Senior Professional
  • 곽찬희 Chanhee Kwak. 강남대학교 산업데이터사이언스학과 조교수
  • 이민형 Minhyung Lee. KAIST 경영대학 박사과정
  • 이준영 Junyeong L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 조교수
  • 이희석 Heeseok Lee. KAIST 경영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