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Cloud computing technology is expanding its services to individual consumers through storage and application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predisposing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ived value and the intention to use between users who have used or experienced services and those who have never experienced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benefit and sacrifice based on the value-based acceptance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crifice factor (perceived co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use, but showed a difference in perceived benefit. Perceived usefulness, ubiquity, and network effects had significant impact for experienced users’ perceived value, but for inexperienced users, ubiquity did not have significant impact. In addition, usefulnes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experienced users while network effect was the same for inexperienced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nsumers' intention to use personal cloud service is evaluated as a benefit and sacrifice point and a new attempt to re-examine the role of previous experience.
한국어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은 스토리지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개인 소비자에게도 그 서비스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치 기반 수용 모형에 기반하여 서비스 사용 요인을 편익과 희생 관점에서 구분하고, 사용자 집단을 서비스를 사용 중이거나 경험한 적이 있는 사용자와 경험한 적 없는 사용자로 나누어 각 집단 별 지각된 가치와 사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지각된 가치는 사용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두 집단에서 모두에서 희생 요인 중 지각된 비용이 지각된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편익의 지각에서는 집단 별 차이를 보였다. 경험자의 지각된 가치에는 편익 요소 중 지각된 유용성, 편재성, 네트워크 효과가 유의하였으나, 비경험자는 편재성이 유효하지 않았다. 또한 경험자에게는 유용성이, 비경험자 에게는 네트워크 효과가 가장 유의한 요인이었다. 본 연구는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분야에서 소비자의 사용 의도를 편익과 희생 관점으로 검정하고 이전 사용 경험의 역할에 대해 재조명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가치 기반 수용 모형
2.2 개인용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 의도에 대한 선행 연구
2.3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서의 지각된 편익(Perceived Benefit)
2.4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서의 지각된 희생(Perceived Sacrifice)
2.5 사용 의도(Intention to Use)의 개념과 측정
2.6 경험자 및 비경험자 집단 간 정보 기술 사용의도 비교
2.7 연구 질문
Ⅲ. 연구 가설
3.1 지각된 편익
3.2 지각된 희생
3.3 지각된 가치
Ⅳ. 연구방법론
4.1 표본 및 자료 수집
4.2 측정 방법
4.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Ⅴ. 연구 결과
5.1 표본의 통계학적 특성
5.2 연구 모형 검정
5.3 연구 모형 검증
Ⅵ. 결론
6.1 연구 결과 요약
6.2 이론적 함의
6.3 실무적 함의
6.4 연구 한계와 연구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변수 별 측정 항목
<부록 2> 기타 설문 항목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