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multicultural attitude between life satisfaction of immigrant adolescents in Korea and their discrimination experience. To accomplish this goal, we recruited 272 immigrant adolescents and the sample included 241 early adolescents aged 10-15.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discrimination experienc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multicultural attitude between life satisfaction reveals that perceived multicultural attitud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Third, Korean Chinese and Russian group have a differ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Finall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mentioned.
한국어
본 연구는 이주배경청소년의 차별경험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다문화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10-15세 이주배경청소년 241명을 분석한 결과, 차별경험은 삶의 만족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 관계에서 다문화태도의 매개역할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 편견 및 차별을 경험한 이주배경청소년 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있어서 교사와 친구들의 다문화태 도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고려인과 조선 족 집단은 변수 간 영향관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인은 차별경험의 하위요인 중 차별인지 요인이, 조선족은 편 견인지 요인이 다문화태도를 매개로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난 바, 이는 민족 집단의 특성 및 차이가 있음 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첫째, 이주배경청소년이 일상에서 겪는 차별경험을 줄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야 하며, 이주민과 선주민에 대한 통합적인 다문화 인권 교육을 실시하여 보편적인 인권에 대한 감수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둘째, 이주배 경청소년의 차별경험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서 다문화태도의 매개효과가 확인된 바, 시민교육 차원에서 교사 및 내국인 학생, 학부모의 다문화 인식 및 태도를 개선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 다. 셋째, 고려인과 조선족의 차이가 유의한 것은 민족 집단의 특성과 차이를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이주배경청소년의 한국 사회 적응과 사회통합을 위 한 기초 자료 및 효과적인 정책 수립의 근거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1. 차별경험과 삶의 만족
2. 다문화태도
3. 연구문제, 연구가설 및 연구모형
Ⅲ. 연구방법
1. 자료 및 연구대상
2. 측정도구
4.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