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Effectiveness of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 for University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원문정보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Myung Soon Kwon, Suk Jung Han, Young Ran Yeu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s among university students. Selection criteria included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s, smartphone addiction, depression, anxiety, self-control and time of smartphone usage. A total of 915 articles were retrieved. From those, 15 studies from 13 articles fulfilled the inclusion criteria. A meta-analysis showed that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s undergone by university students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lleviating smartphone addiction (d=-1.57, 95% CI:-2.84, -0.30), depression (d=-3.73, 95% CI:-4.97, -2.48), and self-control (d=7.28, 95% CI:2.76, 11.79); but were not significantly effective in improving anxiety and reducing time of smartphone usage. The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suggested that smartphone addiction interventions boost the alleviation of smartphone addiction. However, it remains necessary to conduct well-design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cluding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cultural characteristics.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행된 스마트폰 중독 중재들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선정기준에 는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 중재, 스마트폰 중독, 우울, 불안, 자기 통제, 스마트폰 사용시간 등이 포함되었다. 총 915개 의 논문이 추출되었고, 최종적으로 13개의 논문에서 15개의 중재연구가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 중재 는 스마트폰 중독(d = -1.57, 95 % CI : -2.84, -0.30), 우울(d = -3.73, 95 % CI : -4.97, -2.48) 및 자기통제(d = 7.28, 95 % CI : 2.76, 11.79)에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그러나 불안과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스마트폰 중독 중재는 스마트폰 중독 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추후 대상자의 문화적 특성 등을 고려한 잘 설계된 무작위대조군실험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요약
1. Introduction
2. Methods
2.1 Eligibility criteria
2.2 Literature search
2.3 Data extraction
2.4 Data analysis
2.5 Methodological quality
3. Results
3.1 Literature search
3.2 Study characteristics
3.3 SAI effects
3.4 Methodological quality
4. Discussion
5. Conclusion
REFERENCES

저자정보

  • Myung Soon Kwon 권명순. Professor, School of Nursing,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Hallym University
  • Suk Jung Han 한숙정.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Sahmyook University
  • Young Ran Yeun 연영란.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