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노인되기와 빈곤 - 빈곤 궤적의 연령집단 차이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ging and Poverty - Focusing on Age Group Differences in Poverty Trajectories -

이지인, 주은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jectories of multi-dimensional poverty in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middle age to old age,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m. Using the Korea Welfare Panel Data(2006 ~ 2018), we examined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multi-dimensional poverty for 13 years by prospective elderly and middle aged group aged 55 or older in 2006 through the potential growth model. Multidimensional poverty is divided into seven dimensions in four areas: economy (income, employment), environment (residential), health, social culture (leisure, family relations, and social rela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multi-dimensional poverty decreased with time, and the overall poverty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e-old and the averag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dition model with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variables affecting poverty change were found in the order of spouse free and educational level for the elderly and gender and education level for the elderly. In other words, multi-dimensional poverty is gradually improving, but the rate of change and the variables that affect each age group are different.

한국어

본 연구는 동태적 관점에서 중·고령자의 노인기로의 이행과정에서 다차원 빈곤의 변화 궤적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한국복지패널(2006년~2018년) 자료를 활용하여, 2006년 만 55세 이상 중·고령자 중 예비노인과 전기노인 집단별로 13년간의 다차원 빈곤 변화 궤적을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살펴보았다. 다차원 빈곤은 경제(소득, 고용), 환경(주거), 건강, 사회문화(여가, 가족관계, 사회적 관계) 등 4영역에서 7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 다차원 빈곤 궤적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수준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빈곤 수준은 전기 노인이 예비노인과 전체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독립변수를 투입한 조건모형 분석결과 예비노인은 배우자유 무와 교육수준, 전기노인은 성별과 교육수준 순으로 빈곤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다차원 빈곤은 점차 개선되고 있으나, 연령집단별로 변화율 및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다르므로, 노후빈곤 대책 마련 시 연령 집단별 특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2.1 노인빈곤 특성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2.2 노인빈곤에 대한 동태적 관점의 연구
2.3 다차원 빈곤 : 노인의 빈곤을 다차원으로 파악하는 것의 중요성 강조
3. 연구방법
3.1 분석 자료와 주요 변수
3.2 분석방법 : 잠재성장모형
3.3 분석모형
4. 분석 결과
4.1 분석 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기술통계
4.2 연구모형 분석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지인 Ji-In Lee.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수료
  • 주은선 Eun-Sun Joo.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