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신역동적 음악치료에 관한 연구 : 소리의 싸개와 놀이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해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he Research on Psycho-dynamic Music Therapy: The Psychoanalytic Understanding of Sound Envelope and Play

임종환, 안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reud put weight on the sound of baby crying. However, the interpreter of Freud’s collected works was not concerned about sound and listening that a baby could experience in the early stage of his life. Later, Some psychoanalyst have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mental health, and their researches affect on psychoanalytic music therapy. Psychoanalysis has developed from word association and couch to very various and creative art therapies such as play therapy and music therapy. Although psychotherapy was originally based on language, there are many therapeutic methods for children and clients who cannot use language. Based o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searches, it examines psychological aspects on sound, the mirror of the sound as a therapeutic way and the sound as psychic envelopes, and sémiophonie as a sound therapy for a baby, which is used in the maternal environment. Then, it illustrates psycho-dynamic music therapy, which is the psychic envelope and the sound envelope. It will contribute to develop music therapy grounded on an innovative psycho-dynamic theory in the clinical setting.

한국어

프로이트는 아기가 우는 소리에 중요성을 부여하였다. 그러나 생애 초기 아기가 경험하는 목소리와 청취의 문제에 대해서 프로이트 주석가(프로이트의 전집 편찬자) 들은 그다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 후 신체적 활동과 정신건강과의 연 관성을 연구한 정신분석가들에 의해 이 문제가 새롭게 대두되었고, 이는 정신역동적 음악치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신분석은 자유연상과 카우치로부터 진화되 어 놀이치료 뿐만 아니라 음악치료와 같은 다양한 창조적 예술치료의 영역과 기법으 로 나타나고 있다. 정신분석은 언어치료를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아동과 비언어적인 내담자를 위한 다양한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의해 태초 이후 소리는 존재해 왔다. 심리학적 관점에서 볼 때 한 인간이 먼저 경험하는 것은 시각적 경험이 아니라, 청각적 경험이다. 신생아의 첫 경험은 엄마의 심장소리와 양육자의 목 소리이며, 정신분석적 음악치료 시각에서 이 부분은 임상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신생아 시기뿐만 아니라 그 후에도 소리는 인간의 삶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 문에서는 위와 같은 시각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음악과 소리에 대한 신학적 관점에서 시작하여 소리에 대한 물리적, 심 리적 연구를 기초로, 소리에 대한 프로이트의 시각, 생애 초기 모성적 환경에서의 영 아의 청취와 소리를 통한 치료로서의 세미오포니, 심리적 싸개로서의 소리와 치료적 기제로서의 소리의 거울에 대하여 정신분석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후 심리적 싸 개와 소리의 싸개와 놀이로서의 정신역동적 음악치료를 연구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심리치료 분야 특히 정신역동적 음악치료 분야의 이론 및 임상 영역에서 혁신적인 정신역동 이론을 정립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음악치료방법 등으로 확장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이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음악과 놀이에 대한 신학적 관점으로 시작하기
1. 음악에 대한 신학적 시각
2. 놀이에 대한 신학적 시각
III. 소리에 대한 물리적·심리학적 의미
1. 소리와 대상의 움직임을 지각하는 청각적 사고
2. 소리의 심리적 차원
IV. 소리의 싸개에 대한 정신분석적 의미
1. 소리에 대한 프로이트의 시각
2. 모성적 환경에서의 영아의 청취와 세미오포니
V. 정신역동적 음악치료로서의 소리의 싸개와 놀이
1. 소리의 싸개(enveloppe sonore)의 재구성으로서의 정신역동적 음악치료
2. 놀이의 재구성으로서의 정신역동적 음악치료
VI.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종환 Lim, Jong-Hwan.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음악심리치료
  • 안석 An, Seok.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교수 / 실천신학 / 정신분석과 심층심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