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 장로교회 성찬 예전의 인식형성 과정과 문제점

원문정보

The Process and Problems of the Perception Formation of Holy Communion in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이인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and problems of forming the perception of the regulatory tradition centered on the sacrament in the worship service of Korean churches and to make the coordinates for the sacramental future by revealing the origin of the worship theology in the early Korean churches. One of the factors that greatly influenced the recognition of the sacramental ceremony of the Korean church was worship theology transmitted from the Puritan early missionaries. The former elements related to the sacrament were considered as the auxiliary role of sermons in the worship scene without understanding the sacrament as a means of grace like the Word, and such characteristics became more and more present. Puritanists focused on making Calvin's theology and worship view more thoroughly formalized as “regular principle of worship” and thus, they actually got further away from Calvin's theology. And with this logic, the 'freedom of Christians' and 'adiaphora ideological principles' were limited in the worship ceremony of the church. Looking at the early Holy Communion literature of the Korean church, the Presbyterian ancestors show excellent theological views on the bread and cup of the Holy Communion. The sacrament is the former one where Jesus Christ is present and experiences the fact through the Word and the Holy Spirit's ministry at the sacrament site of Holy Communion. When we talk about the tradition of sacrament worship today, especially the big error of the Presbyterian Church is a narrow understanding of the Holy Communion. Unlike the broad understanding of the early worship literature,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has been divided by the denomination and has been dependent on the Puritan tradition of the early missionary mission to simplify worship, and has been pursuing a free worship form that is not bound to the form of the Holy Spirit. It has been consistent with the old worship that understands worship and the worship ignorant of the sacrament theology. In the historical records through the early worship literature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a guideline to recognize our current coordinates that have lost the importance of the sacramental ceremony and to set a new direction for a balanced worship service.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교회의 예배 예전에 있어 성찬을 중심으로 한 규제적 전통의 인식 형성과정과 문제점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한국교회 초기 예배 신학의 원류(源流)를 밝 힘으로써 예전적 미래를 향한 좌표로 삶고자 한다. 필자는 한국교회의 성찬 예전 인 식에 매우 큰 영향을 준 요인으로 청교도적인 초기 선교사로부터 전해진 예배 신학을 주목한다. 청교도적 예배 신학은 성찬을 말씀과 같은 은혜의 방편으로 이해하지 못한 채 예배현장 속에서 성찬과 관련된 예전적 요소를 설교에 대한 보조적인 역할 정도로 만 여기게 되는 특성이 더욱 크게 존재하게 했다. 청교도주의자들은 칼뱅의 신학과 예배관을 “예배의 규정적 원리(Regulative Principle of Worship)”로 보다 철저하게 공 식화하는 것에 주력한 나머지 오히려 칼뱅의 사상에서 실제적으로는 더 멀어지는 결 과를 갖게 되었다. 청교도가 성찬을 이해하는 기준은, 성경에서 언급하지 않는 내용을 성찬 예식에서 적용해서 안 된다는 생각이며, 이러한 논리로 교회의 예배 예전 안에 서 ‘그리스도인의 자유’와 ‘성화된 상식’으로 신앙과 양심에 따라 판단해야 하는 ‘아디 아포라(ἀδιάφορα)의 사상적 원리’를 제한하였다. 한국교회 기독교 초기 성찬 문헌을 보면, 장로교 선조들은 성찬의 떡과 잔에 대한 탁월한 신학적 견해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오늘날 성찬 예배전통의 예전적 회복 을 말할 때, 특히 장로교회가 안고 있는 큰 오류는 성찬에 대한 편협한 이해라고 할 수 있다. 초기 예배 문헌에 담겨있는 폭넓은 신학과는 달리 한국 장로교회는 교단의 분열을 겪으면서 각기 교단이 설정한 정체성에 따라 각기 선교 초기 청교도 전통에 의존하여 예배를 간소화하였고, 성령의 인도에 따른 형식에 얽매이지 않은 자유로운 예배 형식의 추구로, 성례전이 생략된 예배, 교회 성장 전략에 따른 전도 집회나 부흥 회 같은 집회를 예배를 이해하는 예전적 예배와 성례전적 신학에 무지한 예배로 일관 해 왔다. 본 연구를 통한 초기 예배 문헌을 통한 역사적 기록들 속에서, 성찬 예전의 중요성을 상실한 우리의 오늘날의 좌표를 인식하고, 균형 잡힌 예배로의 방향을 새롭 게 설정하는 지침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초록
I. 들어가는 말
II. 초기 한국교회와 청교도주의
III. 한국장로교회의 예배와 청교도주의 성찬 신학
IV. 초기 한국교회의 예전에 대한 이해와 인식형성의 문제들
1. 초기 한국교회의 장로교 예배 문헌에 나타난 성찬 이해
2. 청교도적 예배가 한국교회 예전에 미친 영향과 문제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인수 Lee, In-Soo. 성찬연구소 / 실천신학 / 예배와 설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