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Leitourgia as Sacramental Life” is focused on the restoration of the areas of the life in public worship. Our worship verifies its own values while not only is it opened toward the world and God, but it is also materialized that it serves society. Leitourgia as transformational life is “Leitourgia as Sacramental life”. “Leitourgia as Sacramental life” establishes its identity as a revelation community through “Worship in the worship community” while on the other hand, it is “worship in the field” that serves society by the love of God. In other words, it is public worship as sacramental life toward society by Leitourgia. Therefore, public worship as sacramental life is life that transmutes the world through bible, tradition and holistic understanding. In this thesis, “Leitourgia as Sacramental life” is discussed in two ways. In order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 sacramental worship theology, the relationship between sacramental life and public theology has been constructed. Like God’s reconciliation has been opened toward humanity and society, public functions in worship area have to be revealed. If so, what is public worship? Public worship is 'Liturgical churches coming together to serve society in the name of the Jesus Christ’. It means ruminating the society and others in this apocalyptic hope and living the sacramental life as cosmic ‘Shekhinah’. Beyond human, Not only should God’s history of the Shekhinah be transformed to others and to universal sacramental history, but also to Christians who should live a responsible life for others, society and universe. The sacrifice of the Leitourgia (Love) as God’s existence and the life of the Leitourgia as God’s action, and the glory of the Leitourgia as his glory are treated below. What is the Leitourgia as renovating life? In the ontology, the answer is the building the community of the love and sacrifice like God’s way of existence, and then not only do these all together increase his glory, but also make us participate in the dance of ‘enjoying and persevering’ in his glory. The sacramental life as the Leitourgia of the trinity is to participate in his glory and serve others through God’s sacrifice, love and life.
한국어
“성례전적 삶으로서 레이투르기아”는 공예배가 가지고 있는 삶의 대한 영역을 회 복하려고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우리의 예배는 하나님과 세상을 향하여 열려있고 세상을 섬기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드러날 때 예배의 가치를 증명받게 된다. 삶의 변혁적 레이투르기아는 ‘성례전적 삶으로서 레이투르기아’이다. 성례전적 삶으 로서 레이투르기아는 “예배공동체 안에서의 예배”를 통하여 계시 공동체로서 정체성 을 세우고, 다른 한편으로 하나님의 사랑으로 세상을 섬기는 “삶의 자리에서의 예배” 이다. 즉 레이투르기아로서 세상을 향한 섬김의 삶을 살아내는 성례전적 삶으로서 공 적예배이다. 그러므로 성례전적 삶으로서 공적예배는 성서와 전통, 그리고 삶의 방식 의 통전적 이해를 통하여 세상을 변혁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성례전적 삶으로서 레이투르기아 신학에 관해서 두 가지 구조 속에서 논의하였다. 성례전적 예배신학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성례전적 삶과 공적신학의 관계를 정립 하였다. 하나님의 화해의 역사가 인간과 타자와 세상을 향하여 개방되어짐과 같이 우 리의 예배의 영역에서도 공적인 기능들을 타자와 세상을 향하여 열어야 한다. 그렇다 면 공적인 예배는 무엇인가? 공적예배는 ‘예수그리스도를 토대로 예전적 교회가 세상 을 섬기는 것’이다. 그것은 종말론적 희망 안에서 타자와 세상을 반추하고, 우주적 쉐 히나로서의 성례전적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하나님의 쉐히나의 역사가 인간을 넘어 타자로, 그리고 세상과 전 우주적 성례전적인 역사로 변화되어야 하고, 우리는 타자와 세상, 만유를 향한 책임적 삶을 살아야 한다. 우리는 하나님의 현존으로서 레이투르기아의 자기희생(사랑)과 하나님의 행위로서 레이투르기아의 삶, 그리고 하나님의 자기영광으로서 레이투르기아의 영광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변혁적 레이투르기아로서 삶은 무엇인가? 존재론적으로 하나님의 현존방 식인 자기희생의 사랑의 공동체를 이루는 것이며, 하나님의 행위로서 타자를 향하여 섬기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며, 이 모든 것이 모여서 하나님의 영광을 높여드리고, 그 영광 안에서 ‘함께 느리면서 포기 할 수 없는 춤’을 추는 영광에 참여함이다. 삼위일 체의 레이투르기아로서 성례전적 삶이란 하나님의 자기희생적 사랑과 삶을 통하여 살 아내는 삶의 섬김과 하나님의 영광에 참여하는 것이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공적영역으로서 성례전적 삶
1. 공적영역에서의 신앙함: 성례전적 삶으로 초대
2. 공적예배: 성례전적 삶으로서 예배
III. 레이투르기아로서 성례전적 삶
1. 모호성과 다원성: 타자성이 회복되는 예배
2. 교회: 하나님의 세상을 향한 타자성
3. 화해: 죄의 고백과 성례전적 삶의 현장으로서 공동체
IV. 레이투르기아: 삼위일체의 성례전적 삶으로 초대
1. 하나님의 현존으로서 레이투르기아: 자기희생(사랑)
2. 하나님의 행위로서 레이투르기아: 삶
3. 하나님의 자기영광으로서 레이투르기아: 영광
V.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