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소년 정서행동 그림검사(EBDT)에 나타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예측 변인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n EBDT(Emotional & Behavioral Drawing Test) as Predictable Variables of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김나경, 임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veal the value of the use of the Emotional Behavior Drawing Test (EBDT) as a screening tool that predicts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picture response that appeared in smartphone addiction risk group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attending their first and second year of high school in the capital area, and a total of 769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The research tools included the S-scale of smartphones, K-YSR, and EBDT. After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BDT subfactor and the main variables, the data were analyz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EBDT on smartphone addiction. Biparti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distinguishing the breakpoints fo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election of the addiction risk group and the general smartphone user group. Finally, the pictur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risk group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 subfactor of EBDT, the ‘Internal withdrawal ,’ and ‘Hostile expression’ predict smartphone addiction, of which ‘Internal withdrawal’ had a unique explanatory ability to select between risk groups and general user groups. Differences in picture response showed three pictorial responses: being physically lethargic, being withdrawn, having an onlooker attitude, and avoiding reality. Only ‘Drooping tree,’ ‘Knife,’ and ‘Chimney’ of the stimulus picture cards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the subfactor of smartphone addiction scales. This study identified the usefulness of projective picture tests in selecting risk groups for smartphone addiction. We hope to see EBDT as a potential aid for preventing problematic behavior of smartphone addiction of adolescents and setting appropriate treatment goals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smartphone addiction measures that only provides self-reporting tests.

한국어

본 연구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을 예측하는 선별도구로서 청소년 정서행동 그림검사(EBDT)의 활용가치를 밝히고 나아가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에 나타난 그림반응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고등학교 3곳의 재학생 1∼2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769부를 연구자료로 사용하 였다. 연구도구는 스마트폰 자가진단척도(S-척도)와 한국판 청소년 자기 행동평가 척도(K-YSR), 청소년 정 서행동 그림검사(EBDT)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EBDT 하위변인과 주요 변인과의 상관분석 실시 후, 위계 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EBDT의 스마트폰 중독 예측력을 검증하였다. 또한, 중독 위험군과 일반 사용자군의 선별을 위한 설명력을 탐색하기 위해 절단점을 구분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중독 위험군의 그림반응 특성에 대한 질적 해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EBDT의 하위 변인인 ‘내면적 위축’과 ‘적대적 표출’이 스마트폰 중독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적 위축’은 중독 위험군과 일반 사용자군을 선별할 수 있는 고유한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그림반응 특성의 차이로는 중독 위험군은 신체적으로 무기력하며 위축 되고 타인에게 방관적인 태도를 보이며 현실 회피적이라는 3가지 반응이 나타났으며 ‘힘없는 나무’, ‘칼’, ‘굴뚝’ 자극 그림만 스마트폰 중독척도의 하위 변인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선별에 있어 투사적 그림검사가 가진 유용성을 확인하였으며 청소년 정서행동 그림검사(EBDT) 가 기존 객관적 자기 보고형 검사로만 제공되던 스마트폰 중독척도의 한계를 보완하여 청소년들의 문제행동 을 예방하고 적절한 치료목표를 설정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청소년과 투사적 그림검사
2.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정서행동문제
Ⅲ.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처리
Ⅳ. 연구결과
1. EBDT의 하위변인과 주요 변인들간의 상관관계
2. 스마트폰 중독 척도와 EBDT의 예측변인 결과
3. EBDT에 나타난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의 그림반응 특성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나경 Kim, Na-Kyung. 가천대학교 통합발달심리센터 미술치료사
  • 임나영 Lim, Na-Young. 가천대학교 특수치료학과 미술치료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