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Concept Mapping of Art Therapist's Perception about the Factors of Building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Children with ASD
초록
영어
The study sought to reveal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rapeutic relations in art therapy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art therapists on the factors forming a therapeutic relationship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 total of 12 art therapists were selected to conduct the study of conceptual structure. The final 80 statements were derived based on ideas collected from group interviews of 2∼3 participants and individual interviews. Reached from the results of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ing utilized to classify 80 statements of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o two categorie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s. Art’ and ‘Therapist's Role vs. Children's relationship needs.’ five clusters were formed: ‘Safe and Consistent Environment,’ ‘Being involved in Artwork and Transformation,’ ‘Emotional Empathy and Interaction,’ ‘Approaching with Acceptance and Respect,’ and ‘Communication through Artworks.’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 importance of each cluster, art therapists perceived ‘Communication through Artworks’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Approaching with Acceptance and Respect,’ ‘Safe and Consistent Environment,’ ‘Emotional Empathy and Interaction,’ and ‘Being Involved in Artwork and Transformation.’ This study embodies the idea of building therapeutic relationships with children with ASD in art therapy. It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e principal factors and provides data for art therapists who are coping with children with ASD in clinical settings.
한국어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가 인식하는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의 치료관계 형성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미술치료 치료관계에 관한 개념적 구조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술치료사 1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념도 연구를 진행하였다. 2∼3명으로 구성된 그룹인터뷰 및 개별인터뷰를 통하여 아이디어를 수집하였고 최종 80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참여자들이 80개 진술문을 분류한 자료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분석과 계층적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정서 영역-미술작업 영역’과 ‘치료사의 역할-아동의 관계욕구’이라 는 2개의 차원 위에, ‘수용과 존중의 태도로 접촉’, ‘안전하고 일관된 환경’, ‘작업에서의 몰입과 변형’, ‘정서적 교감과 상호작용’, 그리고 ‘작업결과물을 통한 소통’이라는 5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각 군집의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미술치료사들은 ‘작업결과물을 통한 소통’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수용 과 존중의 태도로 접촉’, ‘안전하고 일관된 환경’, ‘정서적 교감과 상호작용’, ‘작업에서의 몰입과 변형’의 순으 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의 치료관계 형성에 관한 아이디어들 을 구체화하고 주요 요인들을 밝힘으로써 실제 임상현장에서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 치료를 진행하고 있 는 미술치료사들에게 치료관계 형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문제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연구절차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 치료관계 형성요인의 차원
2.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과 치료관계 형성요인의 군집과 중요도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