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피톤치드흡입이 폐경기 여성의 기분상태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Phytoncide Aroma Inhalation on Mood State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enopausal Women

이영조, 김수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in phytoncide intake in mood stat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enopausal women through an 8-week experiment. For the study, 41 subjects under 2 years after menopause in D and N districts in Seoul were targeted. consisting of three study points: pre-measurement (0week), intermediate (4week), and post-measurement (8week).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mood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set,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ree questionnaires: pre-measurement, intermediate measurement, and post-measurement. As for the analysis method, one-way ANOVA and post verification were performed. Derived result First, the phytoncide inhalation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f reducing tension, depression, fatigue, chaos, and increasing vitality among the sub-factors of mood statu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phytoncide inhalation group of postmenopausal wome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competence, mental well-being, stability, and vitality among the sub-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피톤치드흡입이 폐경기 여성의 기분상태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변화를 8주간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이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 D, N구의 폐경 후 2년 이하 41명을 목적적 표집하였다. 실험설계 는 피톤치드흡입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되는 연구대상자 요인과 사전측정(0week)·중간측정(4week)·사후측정 (8week)의 3개 측정시점으로 구성되는 2×3 반복측정에 의한 요인설계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으로는 기 분상태와 건강관련 삶의 질로 설정하였으며 사전측정·중간측정·사후측정 3회 질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 석방법은 one-way ANOVA와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첫째, 폐경기 여성의 피톤치드흡입집단이 통제 집단에 비하여 긴장, 우울, 피로, 혼돈 요인의 감소 효과와 활력 요인의 증가 효과가 통계적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폐경기 여성의 피톤치드흡입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유능감, 정신적 안녕, 안정성, 활력 요인에서 통계적 유의한 증가 추이를 나타내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자 및 할당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 소재
2.2 측정도구
2.3 실험설계 및 자료수집
2.4 자료 분석
3. 결과
3.1 집단 동질성 분석
3.2 기분상태 변화
3.3 건강관련 삶의 질 변화
4. 결론 및 제언
4.1 결론
4.2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이영조 Young-Jo Lee. 경인여자대학교 헤어뷰티 강사
  • 김수영 Su-Young Kim. 오산대학교 뷰티&코스메틱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