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ynchronization Phenomenon of Imports & Exports Trade Volume, Imports & Exports Amount, Trade Balance of ICT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 weight, import weight, export amount, import amount, and trade balance of ICT industry. The data used were gathered from the Korea Customs Service trade statistics. The analysis period used annual data for 19 years from 2000 to 2018. The change rate analysis was shown in order of trade balance, export amount, import amount, import weight and export weight. The increase rate analysis showed that the trade balance was the highest at 919%..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trade balance and export amount were 0.95, showing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export amount for the trade balance, the dependent variable, was Coefficient 2.37, which was positive(+). Each variable is changing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Since 2000, the trade balance of the Korean ICT industry has led 84% of Korea's total trade balance. In the future, Korea's ICT industry should be further developed for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nd exports should be further increased to increase the trade balance. In the next paper, we will try to find a field that can be specifically developed by subdividing the ICT industr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ICT 산업의 수출중량과 수입중량, 수출금액, 수입금액, 무역수지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고 관세청 무역통계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기간은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총 19년간 연간자료를 사 용하였다. 변동률 분석은 무역수지, 수출금액, 수입금액, 수입중량, 수출중량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상승률 분석 은 무역수지가 91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관분석에서 무역수지는 수출액(0.95)과 가장 높은 상관계수를 보여 주었다. 회귀분석결과 종속변수인 무역수지에 대해 수출액은 Coefficient 2.37로 양(+)의 방향으로 나타났고 각 변수들은 상호 독립적으로 변동하고 있다. 지난 2000년 이후 한국 ICT 산업의 무역수지가 한국 총 무역수지의 84%를 주도해 왔다. 향후 한국 수출과 경제발전을 위해 한국 ICT 산업을 더욱 발전시켜야 하고 무역수지 증가를 위해 수출액을 더욱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다음 논문에서는 ICT 산업을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발전 가능한 분야 를 찾아보아야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2.1 물동량 : 수출중량, 수입중량
2.2 수출액 및 수입액
2.3 무역수지
3. 자료수집 및 ICT 산업
3.1 자료수집
3.2 ICT 산업
4. 실증분석
4.1 수치분석
4.2 모형분석
5. 결론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