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Effects of Bilateral Chewing Exercise on Occlusion Force and Masseter Muscle Thickness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초록
영어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ilateral chewing exercise applied for 6 weeks on occlusion force and masseter muscle thickness in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Methods : This study recruited 25 community residents. All participants performed bilateral chewing exercise using equipment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oral chewing exercise. The chewing exercise was divided into isometric and isotonic type and applied for about 20 minutes a day, five times a week for six weeks. For the evaluation, the masseter muscle thickness and the maximum occlusion force were measured three times at three week intervals using a portable ultrasound instrument and an occlusion force gauge. Results :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masseter muscle thickness, baseline, 3 weeks later, and 6 weeks later referred to 7.51±0.43, 7.63±0.44, and 7.83±0.46, respectively (F=3.819, p<.05). The post hoc test resulted in a significance between baseline and 6 weeks later (p=0.023). Similarly, as a result of the change in occlusion force, baseline, 3 weeks later, and 6 weeks later referred to 265±9.22, 268±9.57, and 271.59±10.16, respectively (F=3.031, p<.05). The post hoc test resulted in a significance between baseline and 6 weeks later (p=0.048).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at bilateral chewing exercise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masseter muscle thickness and occlusion force in the elderly. Therefore, bilateral chewing exercise can be applied as a therapeutic exercise method for improving oral function.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6주 동안 적용된 양측저작 운동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교합력과 깨물근의 부피 미치는 효과를 조사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 29명을 모집하였다. 모든 참가자는 구강용 저작 운동 목적으로 개발된 기구를 이용하여 양측저작 운동을 수행하였다. 저작 운동은 등척성과 등장성 운동으로 구분되어 수행되었으며, 하루 약 20 분, 주 5회, 6주 동안 적용되었다. 평가는 휴대용 초음파 장비와 교합력 측정계를 이용하여 3주 간격으로 총 3회에 걸쳐 깨물근의 부피와 최대 교합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 저작근 부피 변화를 측정한 결과, 중재 전 7.51±0.43. 3주 후 7.63±0.44, 6주 후 7.83±0.4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819, p<.05). 사후검증 결과, 중재 전과 6주 후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23). 최대 교합력 변화를 측정한 결과, 중재 전 265±9.22. 3주 후 268±9.57, 6주 후 271.59±10.16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031, p<.05). 사후검증 결과, 중재 전과 6주 후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 다(p=.048). 결론 : 본 연구는 6주 동안의 양측저작 운동이 노인의 깨물근 부피와 교합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양측저작 운동은 구강 기능 향상을 위한 치료적 운동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자
2. 연구절차 및 방법
3. 평가방법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일반적 특성
2. 저작근 부피 변화
3. 최대 교합력 변화
Ⅳ. 고찰
Ⅴ.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