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HS호 기름유출사고 이후 태안해안국립공원 모항 조수웅덩이의 어류 군집 변동

원문정보

Community Fluctuation of Tide-Pool Fish Species at the Mo-hang Port in Taeanhaean National Park after the Oil Spill from the Hebei Spirit

조성근, 김명자, 신유신, 임민영, 최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tide-pool fish species at the Mo-hang Port in Taeanhaean National Park were investigated from 2009 to 2018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Oil Spill from the Hebei Spirit occurred in December 2007. The fish species collected during the investigation period were 33 species belonging to 8 orders, 15 families, and 25 genuses. In the investigation carried out in 2009, 287 individuals in 16 fish species were collected, and the numbers and appeared population of fish species increased and decreased repeatedly. The investigation result showed that tide-pool fish species were recovered after two years from the effects of the Oil Spill due to prompt oil removal work immediately after the incident occurred and the fact that fish species had an ability to avoid polluted environment unlike sea algae and attached organism. The diversity index and dominance index per year were similar, indicating that stable ecological environment for the community of tide-pool fish species was maintained without significant variation after the Oil Spill.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ide-pool fishes in the investigated sea show that Dictyosoma burgeri and Ernogrammus hexagrammus are dominant species in spring, Sebastes schlegelii and Hexagrammos otakii are dominant in summer, Chaenogobius dolichognathus and Tridentiger trigonocephalus are dominant in autumn, and Dictyosoma burgeri and Sebastes schlegelii are dominant in winter. Noticeable fish species at Mo-hang tide pool, were Porocottus leptosomus and Zoarchias uchidai, and Porocottus leptosomus was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place and it was reported as a new species in 2002. The Zoarchias uchidai is an endemic species that inhabits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한국어

2007년 12월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가 조수웅덩이 어류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부터 2018년까지 태안해안국립공원 모항항의 조수웅덩이 어류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동안 채집된 어류는 모두 8목 15과 25속 33종이었다. 2009년 조사에서 16종 287개체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이후에 어류의 종수와 출현개체수는 증가와 감소를 되풀이하였다. 조사결과 조수웅덩이 어류는 기름 유출로 인한 영향으로부터 2년 후 회복되었고, 이 것은 사고 직후 신속한 기름 제거작업과 어류의 경우 해조류나 부착생물과 달리 오염된 환경으로부터 회피할 수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다양도지수와 우점도지수에 있어서도 연도별로 비슷하여 기름유출사고 이후에 도 조수웅덩이 어류 군집은 큰 변동 없이 안정된 생태적 환경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조사 해역 의 조수웅덩이 어류 분포 특징은 봄철에 그물베도라치(Dictyosoma burgeri)와 세줄베도라치(Ernogrammus hexagrammus), 여름철에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 쥐노래미(Hexagrammos otakii), 가을철에 점망둑(Chaenogobius dolichognathus), 두줄망둑(Tridentiger trigonocephalus), 겨울철에 그물베도라치와 조피볼락이 우점하는 것이다. 주목할 만한 어류는 고려실횟대(Porocottus leptosomus)와 우베도라치(Zoarchias uchidai)이며, 고려실횟대는 이곳에서 처음 채집되어 2002 년 신종으로 보고되었으며, 우베도라치는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안에 서식하는 한국 고유종(endamic species)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사사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성근 Sung-geun Jo.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물공학과
  • 김명자 Myeong-ja Kim.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물공학과
  • 신유신 Yu-sin Shin.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물공학과
  • 임민영 Min-yeong Im.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물공학과
  • 최윤 Youn Choi. 군산대학교 해양과학대학 해양생물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