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Hebei Spirit oil spill 이후 태안 해역 조하대 대형저서동물 종 다양성의 장기변동

원문정보

Long Term Variations of Macrozoobenthic Biodiversity after Hebei Spirit Oil Spill Around Taean Subtidal Area, West Coast of Korea

이진영, 정양섭, 임현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easonal long-term variation of macrobenthic community was monitored from fifteen stations between February 2011 and October 2018 in Taean subtidal area, where the Hebei Spirit oil spill occurred. A total of 572 species with mean density of 2,472 indiv./m2 and 155.6 g/m2 of macrobenthos were recorded during the study period. Polychaetes (34%) were the dominant faunal group in terms of species number, Arthropods and echinoderms were the dominant in density (36%) and biomass (43%), respectively. The species number increased with mild oscillation until 2015 and then stayed nearly constant until October 2018. The abundance showed repeated trends of increasing from winter to summer and then decreasing in autumn. The dominant species during the study period were one amphipod Gammaropsis utinomi, and three bivalves, Theora fragilis, Raetellops pulchella and Mactra chinensis, which accounted for 32% of mean abundance. Mass occurrence events of these species influenced the fluctuation of mean abundance.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benthic communities was its highest in October 2014 and then remained stable until the end of the study peri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ubtidal benthic community of the Taean coastal area have recovered from oil pollution and returned to its stable condition. Additional analysis between the benthic community and the environmental variables may be necessary for a precise assessment of whether the benthic community recovered from the oil spill damages.

한국어

허베이스피리트 유류유출 영향을 받았던 태안 연안 조하대 해역에서 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장기변동을 파 악하기 위하여 15개 정점을 설정하고 2011년 2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계절별로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 과 총 572종, 평균 2,472개체/m2가 출현하였다. 다모류가 출현종수 우점 분류군(34%)이었고, 절지동물이 밀도 우점 분류군(36%), 극피동물이 생체량 우점 분류군(43%)이었다. 출현종수는 2015년 4월부터 2018년 10월까지 약간의 증 감을 반복하면서 전체적으로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현밀도는 조사 기간 동안 동계에서 하 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 추계에 감소하는 계절변동 양상을 반복적으로 보였다. 주요 우점종은 넓적다리붙은꼬리 옆새우(Gammaropsis utinomi), 아기반투명조개(Theora fragilis), 쇄개량조개(Raetellops pulchella) 및 개량조개(Mactra chinensis)였으며 이들의 일시적인 대량출현이 밀도 증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종 다양도는 2014년 10월에 최고 치를 보인 후 2015년 10월까지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지만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태안 해역 조하대 저서동물 군집이 유류오염으로 인한 영향 이후 안정적인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유류오염 영 향으로부터 완전한 회복 여부에 대한 보다 정밀한 해석을 위해서는 군집 요소와 환경 요소와의 관계에 대한 추가 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정점 설정 및 현장 조사
2. 대형저서동물 채집
3. 실험실 분석
결과 및 고찰
1. 종 조성
2. 출현종수 및 밀도 장기변동
3. 종 다양도의 장기변동
사사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진영 Jin-Young Lee. 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 정양섭 Yang-Seop Jung. 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 임현식 Hyun-Sig Lim. 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