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이후 태안해안국립공원 새우말 개체군 변동

원문정보

Variation in Population of Phyllospadix iwatensis after the Hebei Spirit Oil Spill at Taeanhaean National Park, Korea

안중관, 이재일, 유경동, 김수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Quantitativ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hyllospadix iwatensis was investigated seasonally from 2014 to 2016. P. iwatensis was distributed in Hakampo, Gureumpo, Mohang and Tonggae in Taeanhaean National Park. The most average density of P. iwatensis were found at Hakampo (7,063 ± 802 shoots m-2), Mohang (6,583 ± 695 shoots m-2), Gureumpo (6,480 ± 581 shoots m-2), while the fewest were found at Tonggae (5,664 ± 561 shoots m-2).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 iwatensi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gion and season. To examine the effect of oil pollution, annual variations of seagrasses was compared before the oil spill in 2007 with after oil spill from 2008 to 2014. The density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 iwatensis, which is increasing in spring and summer, decreasing in autumn, suggesting that they have been recovered damages due to the oil spill. Quantitative variation is interpretation by the impact of seasonal fluctuation than the oil spill. In conclusion, the seagresses has received a temporary effect but rapidly recovered. Seagrasses have been recovered from the effect of the oil spill and are playing a significant role ecologically. However shince the seasonally variations of seagrasses fluctuated between years, they probably have not completely recovered. Therefore, the continuous long-term monitoring of seagrass meadows in Taean is required and provides appropriate and fundamental information for restoration of damaged seagrass ecosystem due to the oil spill in Taean.

한국어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이후 태안해안국립공원 내 새우말 개체군에 대한 정량 및 형태적 특성에 대 해서 2014년 겨울부터 2016년 가을까지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새우말의 평균 생육밀도는 학암포에서 7,063 ± 802 shoots m-2로 가장 높았고, 모항 평균 6,583 ± 695 shoots m-2, 구름포 평균 6,480 ± 581 shoots m-2 그리고 통개에 서 평균 5,664 ± 561 shoots m2로 가장 낮은 생육 밀도로 분포하였다. 새우말 개체군의 형태학적 특징은 정점과 계절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새우말의 밀도, 생물량 그리고 형태학적 특징은 사고 전과 사고 후 대부분 지역에 서 봄과 여름에 증가하고 가을에 감소하는 계절적 변동이 나타났다. 이는 유류유출 사고의 영향에서 회복되어 정상 적인 생태학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유류유출 사고 이후 태안해안국립공원의 해초류는 일시적 으로 사고의 영향을 받았지만, 유류오염에서 급격하게 회복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회복된 해초류는 사고 이전과 같은 계절적 변동 양상을 나타내고 있어 이전과 같은 생태학적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해초류의 계절적 변동 폭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아직 완전히 안정화 된 것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우며 따 라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실정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역 및 분석방법
결과 및 고찰
1. 새우말 밀도 변화
2. 새우말 형태적 특성
사사
참고문헌

저자정보

  • 안중관 Jung-Kwan Ahn.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 이재일 Jae-Il Lee. 생태기술연구소
  • 유경동 Kyong-Dong Yoo. 생태기술연구소,
  • 김수지 Su-Ji Kim.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