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유류유출 사고지점에 인접한 태안해안국립공원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2016-2018 기간 중 변동성

원문정보

Variability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t Taeanhaean National Park Adjoining the Hebei Spirit Oil Spill Site During 2016-2018

성경아, 유영두, 이창원, 정병관, 정주영, 김형섭, 조수근, 이원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hytoplankton abundance and community distribution were analyzed at Taeanhaean National Park adjoining the Hebei Spirit Oil Spill (HSOS) site. Phytoplankton abundance was highest in summers of 2016 and 2017 while highest in spring of 2018. Diatoms were the most abundant followed by the secondly dominant dinoflagellates. Two diatom species, Paralia sulcata and Skeletonema costatum, were the top dominants in many samples. The thecate dinoflagellate Tripos fusus was the first dominant in summer of 2018. The planktonic diatom S. costatum, one of the opportunist under high concentrations of inorganic nutrients, was the first dominant species in the years of 2008-2015. The first dominant species was succeeded to the tychopelagic diatom P. sulcata from 2016 to 2018. Abundance of P. sulcata was higher when seawater temperature and [PO4-P] were lower. By occupying over 50% of total phytoplankton abundance in 2018, T. fusus recorded three times of exceptional dominance in summer along with the previous cases in 2011-2012 and 2015. Succession of the dominant diatom species from S. costatum to P. sulcata as well as the repeated summer dominance by T. fusus may be reflecting the 10 year-long on-going recovering process of the plankton communities from the environmental stress which was triggered by the HSOS accident.

한국어

허베이스피리트호 기름 유출 해역에 인접한 태안해안국립공원 해역에서 2016-2018 사이의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군집분포를 분석하였다. 현존량은 2016년과 2017년에는 하계에 가장 높은 반면 2018년에는 춘계에 최고 값을 보였다. 분류군 기준으로는 규조류와 와편모류 순으로 높은 우점도를 기록하였다. 종별로는 규조류인 Paralia sulcata와 Skeletonema costatum 등 두 종과 유갑와편모류에 속하는 Tripos fusus가 높은 현존량으로 크게 우점하였 다. 규조류 Skeletonema costatum은 유류사고가 난 이후 2008년 부터 최우점종으로 출현하였던 높은 영양염에 반응 하는 종이다. 그런데 2016년부터 Paralia sulcata가 최우점종으로 출현하는 종의 천이 경향을 보였다. 이 기간 중 Paralia sulcata는 수온과 인산염에 반비례하는 특징을 보였다. 2018년 하계에는 와편모류 Tripos fusus가 전체 현존 량의 50%이상을 차지하여, 2011-2012년과 2015년에 이어 제 3차의 하계 고도 우점 현상을 기록하였다. 이와 같은 규조류 우점종의 장기적인 천이 과정과 하계 와편모류 최우점 현상의 주기적인 반복 등의 연구 결과는 연구대상 해역에서 플랑크톤 군집이 유류오염에 의한 환경충격 후의 회복 과정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연구 내용 및 방법
1. 조사 수역 및 현존량
2. 식물플랑크톤 군집 분석
3. 자료 분석
결과 및 토의
1. 수온 및 염분 변화
2. 식물플랑크톤의 종다양성
3. 식물플랑크톤 종조성과 현존량의 변화
4. Tripos 속(genus) 와편모류 우점종의 출현
사사
참고문헌

저자정보

  • 성경아 Kyeong Ah Seong. 군산대학교대학원 해양학과
  • 유영두 Yeong Du Yoo. 군산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 이창원 Changwon Lee. 군산대학교대학원 해양학과
  • 정병관 Byungkwan Jeong. 국립공원공단
  • 정주영 Juyoung Jeong. 국립공원공단
  • 김형섭 Hyung Seop Kim. 군산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 조수근 Soo-Gun Jo. 군산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 이원호 Wonho Yih. 군산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