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高麗歌謠 <雙花店>의 再解釋

원문정보

Reinterpretation of Goryeogayo(高麗歌謠) Sang Hwa Jeom(雙花店)

고려가요 <쌍화점>의 재해석

어강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e of Goryeogayo, Sang Hwa Jeom was banqueting Ahkjang played in the royal court of the Goryeo and the Joseon Dynasty and a type of songs that the high-class literary noblemen and Confucian scholars often enjoyed. Thus, this study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Sang Hwa Jeom should be regarded as obscene lyrics as discussed up to date. Based on the question raised as such, this study demonstrates the fact that Sang Hwa Jeom shows one aspect of Goryeo in a state of confusion through the heroine troubled with unacceptable rumors. Women at that time often visited the places like stores selling Sang Hwa, temples, wells and pubs. However, these places were not likely to be visited by strangers, so common people were very curious about what happened in them. Moreover, those places had a reputation for sexual problems, people were apt to be suspicious of the women visiting there. The woman who is the main character in this story had done her best sincerely in the places like the Temple of Samjang but later she was aware of the scandal she held hands with the store owner. Though she made a strong protest that it was not true at all, the rumor had been circulated and amplified and finally people said she slept with the man. Therefore, the narrator felt frustrated by the situation impossible to uncover the truth against the embarrassing rumor. Moreover, in the works of Seopo Kim man-jung, literary man of the late Joseon, it finds out that he understood Sang Hwa Jeom is about the woman lamenting the unjust rumor and the fact that Samjang and Saryong in Goryosa were translated by Chinese also proves the argument.

한국어

고려가요 <쌍화점>은 고려는 물론 조선 궁중의 연회용 악장이었으며, 상류층 사대부나 유학자들도 즐겨 향유하였던 노래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논의된 바와 같이 <쌍화점>을 대표적인 음사로 볼 수 있을 것인가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처럼 제기된 의문을 바탕으로 <쌍화점>은 억울한 소문으로 고통을 받는 주인공 여인의 언술을 통해 고려 사회의 혼란한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쌍화를 파는 가게’, ‘삼장사’, ‘우물’, ‘술집’ 등은 여인들이 자주 왕래할 수밖에 없는 곳이다. 그러나 이곳은 외부인들이 접근할 수 없는 공간이 많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호기심을 크게 자극하게 되었다. 더구나 이곳에서는 이미 성적인 사회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곳을 특별히 자주 왕래하는 여인들을 자연스럽게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주인공 화자 여인은 삼장사 등의 장소에 가서 충실하게 자신의 할 일을 하였다. 그러나 후에 주인과 손을 잡았다는 추문이 난 것을 알게 되었으며, 이것이 전혀 사실이 아님을 강하게 항변하고 있다. 그러나 소문은 점차 증폭되어 퍼져서 같이 잠을 잤다는 데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에 화자는 자신에 대한 황당한 소문에 대하여 진실을 해명할 수 없는 상황을 답답하게 여기고 있는 것이다. <쌍화점>을 억울한 소문에 대한 여인의 강한 한탄으로 이해하였던 예는 이미 조선 후기의 문인인 서포 김만중의 악부시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고려사』에서 <삼장>과 함께 한역되어 있는 <사룡>이 독립된 두 개의 작품이 아닌 내용상 서로 연결되어 있는 관계에 있다는 점에서도 확인 할 수 있다.

목차

[ 국문초록 ]
1. 문제제기
2. 所聞의 原因과 ‘말’
3. 所聞의 擴散과 眞實
4. <三藏>과 <蛇龍>의 聯關性
5.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어강석 Eo, Kang-seok. 충북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