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세기 후반 영남의 喚醒系 僧侶門中과 四佛山畫派 畵僧

원문정보

The Monk Lineage of Hwanseongjian and Monk Painters of the Sabulsan School in the late 19th century at Yeongnam

19세기 후반 영남의 환성계 승려문중과 사불산화파 화승

이용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focuses on Uiunjau and Haeuneunsang, who represented the Sabulsan School, and explores the assistance relationship with the Monk Lineage of Hwanseongjian. So far, research on Uiunjau and Haeuneunsang has focused in revealing only the figurative activ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style of the two painters representing the Sabulsan Schools in the late 19th century. Among the monk painters who were active in the late 19th century, Uiunjau was respected enough to paint his portraits and Haeuneunsang still has a reputation as a representative painter of the Sabulsan School to this day. The reason that they were respected as a Seon Master or Buddhist Painter is because of the help from the Monk Lineage of Hwanseongjian settled in Yeongnam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activity of ToeunSingyeom living as a Seon Master in their lineage. Uiunjau succeeded both the Dharma and Paint school of ToeunSingyeom who came from Poweol’s monk Lineage of Hwanseongjian descent. He worked as a respected Seon Master who was active like the Chief Priest of Pyochungsa temple and Jungchangju of Deaseungsa temple while producing Buddhist paintings. His presence as a Buddhist painter and with the qualities of a Seon Master has changed people’s perception of a Buddhist painter following ToeunSingyeom, which became the background of producing portraits of Buddhist painters from the Sabulsan School. Haeuneunsang, Buddhist painter of the Sabulsan School, was from the Hamweol’s monk Lineage of Hwanseongjian descent. The Hamweol’s monk Lineage, represented by YeongpaSeonggyu in the late 18th century, forme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oeunSingyeom, a native of the Poweol’s monk Lineage of Hwanseongjian descent. This relationship affected the reputation of Haeuneunsang who succeeded ToeunSingyeom as the Sabulsan school’s representative monk painter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fact that Uiunjau and Haeuneunsang were able to have different achievements from the numerous monk painters who were active during the same time period was possible because there was the Monk Lineage of Hwanseongjian that recognized the monk painters who had built the practice and merit as a Soen master and actively supported their activities.

한국어

이 글에서는 退雲信謙 이후 19세기 후반 四佛山畫派를 대표했던 意雲慈雨와 霞隱應 祥을 중심으로 환성계 승려문중과의 조력 관계를 고찰하였다. 지금까지 의운자우와 하은 응상에 관한 연구는 19세기 후반 四佛山畫派를 대표하는 두 화승의 조형적 활동과 화풍 적 특징을 규명하는데 머물러 있다. 19세기 후반에 활동한 화승들 가운데 의운자우는 진영이 제작될 정도로 선사로서 존경을 받았으며 하은응상은 오늘날까지 사불산화파를 대표하는 불모로 명성이 이어지고 있다. 두 화승이 선사 혹은 불모로 존경을 받았던 것은 조선 후기 영남에 정착한 환성계 승려문중의 협력과 결집을 통한 출신 화승에 대한 조력과 선배 화승인 퇴운신겸이 일생동안 보여준 선사로서의 삶에 기반하고 있다. 의운자우는 환성계 포월문중 출신인 퇴운신겸의 법맥과 화맥을 동시에 계승하였다. 의운자우는 불화를 조성하면서도 表忠寺 宗正, 大乘寺 重創主로 활동하는 등 문중에서 존경받는 선사로서의 행보를 펼쳤다. 화승이면서도 선사의 면모를 갖춘 의운자우의 존재 는 퇴운신겸에 이어 화승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사불산화파 출신 화승의 진영이 조성되는 배경이 되었다. 사불산 불모인 하은응상은 환성계 함월문중 출신이 다. 18세기 후반 영파성규로 대표되는 함월문중은 환성계 포월문중 출신인 퇴운신겸과 도 우호적 관계를 형성하였으며 이러한 관계는 하은응상이 퇴운신겸의 화풍을 계승한 19세기 후반 사불산화파의 대표 화승으로 그 이름을 남기는데 영향을 미쳤다. 이와같이 의운자우와 하은응상이 동시기에 활동한 수많은 화승들과 다른 행적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은 수행과 공덕을 쌓은 화승을 선사로 인식하고 이들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고 자 하였던 환성계 승려문중이 존재하였기에 가능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조선 후기 영남의 환성계 승려문중
Ⅲ. 환성계 승려문중에서 사불산화파 화승의 위상
Ⅳ. 화승 의운자우·하은응상의 활동과 문중의 조력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용윤 Lee, Yong yun. 불교문화재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