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andardization to ensure Interoperability and Reliability of Campus Microgrid
초록
영어
The construction of medium-and large-sized microgrid systems by unit area, which is being promoted worldwide, is being developed and expanded in the form of efficient operation of electric grids and independent operation in preparation for power emergencies.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electricity industry, it is urgent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and technology of relevant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nd to mak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domestic standard (draft) on the matters that need to be enacted and newly established. Campus microgrid implements smart grid element technologies such as Integrated Energy Management System(EMS), Distributed Power(DG), Energy Storage System(ESS), Demand Response(DR), and Electric Vehicle(EV) in a university campus. As a system that reduces energy use and improves energy use efficiency and energy independence, standardization is established to secure interoperability and reliability of such systems.
한국어
전 세계적으로 추진 중인 단위영역별 중․대형 마이크로그리드(Microgrid) 시스템 구축은 전력망의 효율적 운영 및 전력 비상사태에 대비한 독립적인 운전이 가능한 형태로 점차 발전, 확대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형태의 민간 주도형 전력산업을 발전시키고 있다. 따라서 국내 전력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관련 국제 표준화의 진행 현황 및 기술을 분석하고, 국내 실정에 맞는 표준제정과 새롭게 제정의 필요성이 있는 사항에 대해 국내 표준(안)의 국제표준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캠퍼스 마이크로그리드는 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분산전원(DG), 에너지저장 장치(ESS), 수요 반응(DR), 전기자동차(EV) 등 스마트그리드 요소기술들을 대학 캠퍼스에 통합된 형태로 구현하여 에너지 사용을 저감하 고 에너지 사용효율과 에너지자립도를 향상하는 시스템으로 이러한 시스템의 상호운용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표준화 정립에 대해 살펴본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II. 마이크로그리드 국내외 동향
1. 해외 캠퍼스 마이크로그리드 현황
2. 국내 마이크로그리드 현황
III. 마이크로그리드 표준화 개요
IV. 캠퍼스 마이크로그리드 표준화 평가방법
1. 상호운용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표준화 기술개발
2. 실증을 통한 세계 최고 수준의 Best Practice 실현 및 단계적 확산
IV.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