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남미의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고향/조국의 기억 - 한국전쟁기 반공포로와 근대화/산업화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Korean Diaspora to South America and Memories of the Homeland/Native Country – Focused on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of the Korean War Period and Modernization/Industrialization

김환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history and cultural topography of South American regions can be differentiated from the Late Period of Chosun and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emigration/migration after liberation. This is because the emigration/ migration of Koreans and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of the Korean War Period was propelled to South American regions during the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of Korea in the 1960s and 1970s. The military government of Park Chung-hee enacted the ‘Overseas Emigration Law’ in 1962 and it triggered a domino effect of agricultural immigrates moving to South American regions, miners and nurses being dispatched to Germany, and troops being sent to the Vietnam War. Therefore, the emigration history and cultural identity along with the symbols/memories of the homeland (native country) of Koreans in South American regions excavate self-portraits of the distorted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the diasporic lives of confined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and emigrants/emigrant societies linked to the modernization/industrialization of the homeland. In particular, from perspectives of the centripetal force and centrifugal force of diaspora, guard consciousness and translations, hybridity, and glocalism related worldviews are historical and sociocultural points that represent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along with Korean emigrants/emigrant societies in South American regions (Brazil and Argentina). Hwang Un Heon, who acted as a literary critic in Brazil, said that ceaselessly crossing borders from central domains into main domains allowed him to experience cultural hybridism and meet “various alienated elements” through open worldviews. In actuality, “festive dinism” displayed in Korean emigrants/emigrant societies in Brazil can be considered strength released autonomously by individuals/groups through prior experiences. Also, the emigration/migration history of some Koreans that boarded Japanese emigrant ship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political ideologies tangled in the travel to neutral countries (Brazil and Argentina) of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of the Korean War Period, and the history of emigration/movement of agricultural emigration, which meshed with modernization/industrialization in the 1960s/70s can be considered valuable points which represent the national and cultural identities of Korean emigrants/emigrant societies.

한국어

남미지역의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역사와 문화지형은 기존의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해방 이후의 해외 이주/이동과 차별화된다. 한국전쟁기의 반공포로와 1960년대/70년대 한국의 근대화/산업화 과정에서 추진된 코리안의 이주/이민이 남미지역이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른바 박정희 군사정권은 1962년 ‘해외이주법’을 제정하고 남미지역의 농업이민을 비롯해 독일로의 광부/간호사 파견, 베트남전쟁의 파병 등을 연쇄적으로 추진했던 것이다. 따라서 남미지역 코리안들의 이민역사와 문화 정체성, 고향(조국) 표상/기억이라고 할 때 한국의 굴절된 근현대사를 비롯해 반공포로의 유폐된 디아스포라적 삶, 조국의 근대화/산업화와 연동된 이민자/이민사회의 자화상을 천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특히 디아스포라의 구심력과 원심력이라는 관점에서 경계의식과 트랜스네이션, 혼종성과 글로컬리즘적 세계관은 반공포로를 비롯해 남미지역(브라질, 아르헨티나)의 코리안 이민자/이민사회를 표상하는 역사적, 사회문화적 지점이다. 문학평론가로 활동했던 황운헌은 끊임없이 중심의 영역에서 주연의 영역으로 월경(越境)하면서 문화적 혼종을 경험하고 열린 세계관을 통해 “이화(異化)된 갖가지 활성적인 요소”를 만날 수 있다고 했다. 실제로 브라질의 한국계 이민자/이민사회에서 보여주는 “축제적인 다이나이즘”은 그러한 개인/단체가 선경험을 통해 주체적으로 발산하는 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일제강점기에 일본인 이민선에 함께 올랐던 몇몇 한국인의 이주/이동의 역사, 한국전쟁기 반공포로의 중립국행(브라질, 아르헨티나)에 얽힌 정치이데올로기, 1960년대/70년대의 근대화/산업화와 맞물린 영농이민의 이주/이동의 역사는 그들 코리안 이민자/이민사회의 민족적, 문화 정체성을 대변하는 소중한 지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어

南米地域のコリアンㆍディアスポラの歴史と「文化地形」は、日帝強占期を経て朝鮮戦争期の反共捕虜と1960ㆍ70年代の近代化/産業化に連動した移住/移民であるという点において、他の地域(大陸ㆍ国家)におけるコリアンの移住や移民の歴史とは異なる様相を呈する . それは、いわゆる朴正煕軍事政権が1962年に「海外移住法」を制定し、南米地域の農業移民をはじめとする派独鉱夫ㆍ看護師、ベトナム戦争への派兵などを積極的に推し進めた時代状況と相俟っている . したがって、南米地域におけるコリアンの移民の歴史と文化的アイデンティティ、故郷(祖国)の表象/記憶に触れる際、韓国近現代史を貫き通す日帝強占期の移住や移動、朝鮮戦争期の反共捕虜と近代化/産業化時代の農業移民者に集中されるのは当然なことである . そしてディアスポラの求心力と遠心力という観点からすると、境界意識とトランスネーション、ハイブリッドとグローカリズム的な世界観は南米地域(ブラジル、アルゼンチン)におけるコリアンの移民者や移民社会を表象する社会文化的な地点であると言える . また黃雲軒の指摘のように、中心の領域から周縁の領域へと越境しながら文化的混種を経験し、開かれた世界観を実践的に示してくれるという点においても注目される . いずれにせよ、グローバル時代における韓国の競争力と記録/記憶という観点に立ち、日帝強占期をはじめとする朝鮮戦争期の反共捕虜と韓国の近代化/産業化時代の農業移民者をめぐる歴史的ㆍ社会文化的な地点を、記録テクストを中心に徹底的に調査し研究する作業は持続されねばならない .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남미지역 코리안의 이주/이동의 역사와 한국전쟁기의 반공포로
3. 남미에 정착한 코리안 이민사회의 고향/조국 표상
4. 남미지역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5. 나오는 말
reference
abstract
abstract
abstract

저자정보

  • 김환기 Hwanki Kim. 동국대학교 일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