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3.1 운동과 미주 한인사회

원문정보

March 1st Uprising and Its Impact on the Korean American community

장태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How did March 1st uprising of 1919 impact Korean immigrant community? Scholars and researchers previously focused on how Korean immigrants in the United States raised substantial amount of funds to support independence activities in the U.S. and elsewhere and how successfully launched pro-Korea/anti-Japan public relations campaign. In this paper, I focus on how the March 1st uprising impacted Korean immigrant community in four previously neglected areas: 1) historical importance of the “Hemet Valley incident” (1913) and how it laid the legal ground for Korean immigrants to continue independence activities in the United States, 2) how Korean immigrants called for direct military action against Japanese militarism, 3) how it engaged Korean immigrant women to independence movements, 4) content analysis of U.S. newspaper reporting of the March 1st uprising. stream before World War Ⅱ.

한국어

이 논문은 3.1운동 관련 한인사회에 대한 선행연구를 보충하는 차원에서 첫째, 미국에서 미주한인들의 비공식 법적 위치가 공인된 헤멧 밸리 사건(1913)을 재조명하여 미주한인들이 미국에서 적극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점을 지적하고, 둘째, 3.1운동 이후 전개된 미주한인들의 무장 독립운동사를 서술보고, 셋째, 3.1운동이후 미주 한인 여성들이 적극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한 사실을 강조하고, 넷째, 미국 언론이 보도한 3.1운동 소식 내용의 동향을 소개하고 분석한다. 특히 헤멧 밸리 사건은 미국 거주 한인들이 비공식적으로 일본인이 아니라, 한국인으로서 법적 지위를 부여받음으로써 미주 한인들이 일본 식민국민이 아닌 한국인으로 살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사건이었다. 만주나 러시아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면서 일본 군대와 경찰의 탄압을 받았던 동포들과는 달리, 미주 한인은 일본의 간섭 없이 독립운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할 수 있었다. 이는 초기 미주 한인사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의 하나이며, 3.1운동 소식을 전해들은 미주 한인들 고무시키기에 충분했으며, 독립운동에 적극 참여하는 동기가 되었다. 이는 여성에 의한 외교활동과 반일 경제활동 그리고 무장 독립운동으로 이어졌다.

일본어

本論文は、3.1運動と関連して韓人社会に対する先行研究を補うという意味で、第一、米国在住の韓国人の非公式法的地位が認められた1913年のハメット・バレー事件が米国韓国人社会が米国で積極的に独立運動を展開し得る踏み台を確保した点を述べ、第二、3.1運動以降に展開された米国韓国人による武装独立運動史を叙述する、第三、3.1運動以降、米国韓国人社会の女性が積極的に独立運動に参加した事実を強調し、第四、米国マスコミが当時伝えた3.1運動の報道を紹介し、その動向を分析する。 特に、ハメット・バレー事件は、米国在住韓国人が非公式に日本人ではなく韓国人としての法的地位を与えられ、米国韓国人が植民地国民としてではなく韓国人として生きることのできる基礎を確立した事件であった。満州やロシアで独立運動を展開しながら日本の軍隊や警察の弾圧を受けた同胞とは異なり、米国韓国人は日本の干渉から解放され、独立運動に積極的に臨むことができた。これは初期米国韓国人史において最も重要な事件の一つであり、3.1運動の事実を伝え聞いた米国韓国人社会に独立の意志を植え付けるに十分であり、実際に独立運動への積極的な参加が行われた。これはまた女性による外交活動、反日経済活動、そして武装独立運動へと進むことになった。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헤멧 벨리 사건(1913)
3. 무장 독립운동
4. 여성 회원들의 참여와 활동
5. 여성들의 외교 활동
6. 여성들의 반일 경제 활동
7. 3.1운동과 미국 신문 보도
8. 맺는 말
reference
abstract
abstract
abstract

저자정보

  • 장태한 Edward T. Chang. UC 리버사이드 교수, 김영옥 재미동포연구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