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점령과 삼례 행영소(行營所) 연구

원문정보

The Research of Occupation of Jeonju-Castle by Donghak Peasant' Army and Samrye Haeng-yeongso(Camp)

박대길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58호 2020.04 pp.217-23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n April 27, 1894, Jeonju, the head of Honam and the home of the Korean royal family, was occupied by Donghak Farmers' Army. Reconciliation with the news fell in desperation to retake Jeonju at the earliest possible time. This impatience appeared to determine Secretly allowed the next day the Jeonju-seong fell, asking for Qing Dynasty' Army.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concrete response from the government to suppress the Donghak Farmers' Army and retake Jeonju. As part of this process, the center searched for spaces and facilities to replace Jeolla Gamyeong. That was Samrye at the beginning of Jeonju. Haengyeong(行營) was a space for government offices and military offices where temporary residence and longevity of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were temporarily located. In particular, it was very useful for exhibitions. Samrye was the main point of transportation between Hanyang and Jeolla-do, and was the main station governing the transportation route centered on Jeonju, the grandfather of Jeolla-do.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sanctuary to replace Jeolla Gamyeong. Especially, since the telegraph line connecting Jeonju and Seoul passes through Samrye, it was a place where I could communicate with Seoul from time to time. As a result, Jeollagamsa(全羅監司), sunbyeonsa(巡邊使), and yeomchalsa(염 찰사(廉察使) stayed in Samrye, where they could not enter Jeonju Province. They coped with wartime conditions such as suppressing Donghak peasant army and maintaining security order in Jeolla province. The period was 11 days from 27 April to 8 May. Even after the rejuvenation of Jeonju, Samrye served as a strategic hub.

한국어

1894년 4월 27일, 호남의 수부(首府)이자 조선 왕실의 본향인 전주가 동학 농민군에게 점령당하였다. 이 소식을 접한 조정은 가장 이른 시간에 전주를 탈환해야 하는 절박함에 빠졌다. 이러한 조급증은 전주성이 함락당한 바로 다음 날, 청국에 차병(借兵)을 청하는 내락(內諾)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동학농민군 진압과 전주성 탈환을 위한 정부의 구체적인 대응이 있었다. 먼저 전라 감영을 대체할 공간, 즉 행영(行營)을 물색하였다. 그곳은 바로 서울에서 내려와 전주로 들어갈 때 초입(初入)에 있는 삼례였다. 행영(行 營)은 고려와 조선 시대 지방관이나 장수(將帥)가 임시로 거처하던 관청과 군 영을 가리키는 공간이었다. 특히 전시(戰時)에 아주 유용하게 활용되었다. 삼례는 한양과 전라도를 잇는 교통의 요지였고, 전라도의 수부인 전주를 중심으로 한 교통로를 관장하는 주요 역이었다. 따라서 전라 감영을 대체할 행영소를 설치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추고 있었다. 특히 전주와 서울을 연결하 는 전신선(電信線)이 삼례를 통과하는 관계로, 수시로 서울과 연락을 주고받 을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전주성에 들어갈 수 없었던 전라 감사와 순변사, 그리고 염찰사 등이 삼례에 머물렀다. 이들은 삼례 행영소에서 동학농민군 진압은 물론 전 라도 지역의 치안 질서 유지 등 전시 상황에 대처하였다. 그 기간은 4월 27 일부터 5월 8일까지 11일이었다. 전주성 탈환 이후에도 삼례는 전략적인 요 충지로 기능하였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동학농민군의 전주성 점령과 전라 감영
Ⅲ. 삼례 행영소 설치와 전신국 운영
Ⅳ.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 문헌>

저자정보

  • 박대길 Park, Dae-Gil. 부안군청 전문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