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팔송 윤황 종가의 藏書目錄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Library Lists of the Head Family of Palsong Yun Hwang

팔송 윤황 종가의 장서목록에 관한 연구

김소희

전북사학회 전북사학 제58호 2020.04 pp.173-21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Library list is the list of the book stock kept by an individual or an organization. The list is made by the bookkeeper for the convenience of book reading and management. Depending on the list writer, the importance and use of the books can vary greatly. This is a study on 6 lists on the books kept by the head family of Palsong Yun Hwang who argued for enhancing the wealth and military strength of a country and good government of a country in the 17th century. First, this study introduced the forms and structures of the lists, and searched for the periods when the lists were made and the writers of them. And, it found out that they had been made by Yun Sang-bong, Yun Pil-byeong, and Yun Jeong-jung in th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Plus, by precisel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books on the lists, this study identified the library of 1,875 books of 336 kinds. And, using the list, this study made 'the New List of Books', and identified that, most of the books are printed in Joseon Ganinbon (朝鮮刊印 本), and that manuscrip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respect of variety, and books published in China did in the respect of quantity. As characteristics of the books, they consisted of various writings of relatives, and many books on calligraphy showing the status of the artistic family. And, a number of written study texts for applicants for Gwageo Examination were identified. Biographies and family pedigree books intended to enhance the family status were also identified. The library also included various kinds of books printed in China including many rare books in early Ming Dinasty and Gyubyeokbon in Ching China, which were collected mainly by Yun Sang-bong. Finally, this study of library lists can be used to examine the scale of the library of head families in late Joseon Dynasty, explore books of individuals, and grasp scholastic tastes of book collectors. By identifying the writers of manuscripts and the time when they were made, this study can double the values of books, and can be used to study knowledge circulation through books and like, scholarship, and politics of the people in those day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stimulate interests in library lists randomly discovered and investigated, and further studies on them.

한국어

장서목록은 소장하고 있는 책에 대한 리스트으로, 書目의 일종이다. 소장자 가 서책의 열람과 관리에 편의를 기하기 위한 목적에서 작성했을 것인데, 작 성자가 누구인지에 따라 목록의 중요성과 활용도는 현격히 달라진다. 이 글 은 17세기 부국강병과 경국제세를 외쳤던 팔송 윤황의 종가에 소장된 6종의 장서목록에 대한 연구이다. 먼저 형태와 체제를 소개한 후, 개별 목록의 작성 시기와 작성주체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19-20세기 초에 윤상봉, 윤필병, 윤 정중이 작성한 장서목록이자 점검목록임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개별 장서목 록에 기재된 서적을 면밀히 비교·분석하여 총 336종 1,875책 규모의 장서를 파악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新장서목록>을 구축하였고 朝鮮刊印本이 대부분을 차지하 되, 다양성의 측면에서는 筆寫本이, 양적인 측면에서는 中國本이 중요한 역할 을 했음을 규명하였다. 아울러 구축된 장서의 특징은 집안인물을 중심으로 한 한국인 문집을 다양하게 갖추고 있었고, 예술가문으로서의 위상을 보여주는 書法류 서적이 독보적으로 많았다. 또한 과거시험을 위해 필사한 수험서가 상 당수 확인되고, 爲先事業과 가계의 정통성을 높이기 위해 傳記類와 族譜類 서 적이 여러 건 제작되었으며, 윤상봉을 주축으로 明初 희귀본으로부터 청대 규 벽본에 이르기까지의 다종다량의 중국본이 구비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끝으로 이들 장서목록은 조선후기 宗家 文庫의 규모를 파악하고, 개인 장 서의 발굴과 장서가의 학문적 취향을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사본의 저자와 제작시기를 밝혀줌으로써 사료적 가치를 배가 시키고, 서적을 매개로 한 지식의 유통과 당시 사람들의 삶과 학문 및 정치 세계를 연구하는데 중요 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 글을 통해 향후 각처에서 산발적으로 조사, 발견되 었던 장서목록에 대한 관심이 다시금 촉발되고 보다 진전된 연구 성과들이 지속적으로 나올 수 있기를 기대한다.

목차

Ⅰ. 서론
Ⅱ. 장서목록의 형태와 특징
1. 종류와 형태
2. 기술방식과 분류체계
Ⅲ. 장서목록의 작성시기와 작성주체
1. 작성시기
2. 작성주체
Ⅳ. 장서의 특징과 장서목록의 가치
1. 新장서목록의 구축 및 장서의 특징
2. 장서목록의 가치
Ⅴ. 결론
<국문초록>

<참고 문헌>
<부록>

저자정보

  • 김소희 Kim, So-Hee.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