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호남지역 철기문화 중심세력의 전환과 그 의미

원문정보

The Transformations of Iron Culture in the Region of Honam and their Significance

김상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region of Honam is one of the places located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in which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iron culture were prosperous. Despite this fact, a series of processes leading from the appearance of iron to the development of the iron culture in the Age of Three Kingdoms did not show consistency. Furthermore, the iron culture that emerged from 3th century in the region of Honam shows a strong preponderance according to locality and its deviation is wide.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specify the iron culture during the first and second century BCE often referred to as 「the Vacancy Period」, 「the Disconnection Period」and reviews its interrelationship with the political system in the region of Honam in third century AD. The central force of the iron culture in the region of Honam formed forces centered around Mangyeong River with the introduction of iron, expanding inward into the areas around it; however, it failed to grow into the central force of the iron culture up to the first century BCE. In addition, a small force around the Southwest coast and the area of Yeongsan River emerged; however, their contribution did not exceed the introduction of forging iron products centered around the sea. That is to say, due to limitations of technology and materials, the iron culture in the Honam area is considered to fail to grow into an independent central force of iron culture. However, by engaging in cultural exchanges with the regions well aware of its advanced development of culture and materials or through the sea route, the marine base played a role of a catalyst to conduced to the emergence of the hinter land forces, which paved the way to growing into regional political entities in the third century.

한국어

호남지역은 한반도 남부지역 내에서도 일찍이 철기가 유입되고 발전하지 만, 철기의 등장부터 삼국시대 철기문화의 발전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은 연 속성을 보이지 않는다. 또한 호남지역 내 3세기 이후 등장하는 철기문화 역 시 지역성이 강하며 그 편차가 큰 편이다. 본고는 최근 호남지역 철기문화의 등장과 발전과정에서 보이는 소위 「공백기」, 「단절기」로 표현되는 기원 1~2세 기 철기문화를 특정하고, 3세기대 호남지역 지역 정치체와의 상호관계를 살 펴보고자 하였다. 호남지역 철기문화의 중심세력은 철기의 유입과 함께 만경강유역을 중심으 로 세력을 형성하여 주변 일대로 내적 확장하였으나, 이후 기원전 1세기를 기점으로 철기문화의 중심세력으로는 성장하지 못한다. 그리고 서남해안·영 산강유역을 중심으로도 소규모 세력이 등장하지만 해양거점을 중심으로 단조 제 철기류를 유입한 정도에 그친다. 즉 호남지역의 철기문화는 기원 1세기 이후 기술과 소재의 한계로 인해 독자적인 철기문화 중심세력으로 성장하지 못한 것으로 여겨진다. 다만, 철을 비롯한 선진문물의 중요성을 사전에 인지 한 지역이나 해로를 통해 문화교류를 활발하게 하였던 해양거점은 배후 집단 의 등장시키는 촉매제가 되었으며, 이후 3세기대 지역 정치체로 성장하는 배 경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호남지역 철기문화의 고고학적 현상
Ⅲ. 호남지역 철기문화 중심세력의 성립과 전개
Ⅳ. 호남지역 철기문화의 중심세력과 3세기대 지역 정치체의 등장
Ⅴ. 맺음말
<국문초록>

<참고 문헌>

저자정보

  • 김상민 Kim, Sang-Min. 목포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