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소월시에 나타난 미적 근대성 연구 - 언어감각 원리와 ‘시혼’의 의미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esthetic Modernity in So-wol's Poetry - Focusing on The Principle of Language Sense and The Meaning of 'Si-hon'

김웅기

국제한인문학회 국제한인문학연구 제26호 2020.04 pp.137-163

doi:http://doi.org/10.37643/diaspora.2020.26.5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puts emphasis on re-discussing the discussion of aesthetic modernity of So-wol's poetry with sensory theory. For example, the poetic form of the orthopedic rhymes in So-wol's poetry is somewhat traditional in appearance, but again encounters the inner dimension of the poetry marriage. In addition, it is "Si-hon" to adjust the form of poetry, even if it implies success and limitations in a new attempt at the poet's inner dimension.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Si-hon" considered So-wol's only poetic theory, is a "sense of power" that makes the world of his work colorful beyond superficial poetic consciousness. Therefore, it was used to prove that it was evidence of sensory aesthetics through re-discussion of the sense of language of poems "Home" "Dream" and "I", reflecting the traditional rhythm surrounding So-wol's poetry and the universal interpretation of the colonial period. Each piece of So-wol inevitably senses power and cracks. Attention is needed in that it is not a natural occurrence but an artificial and conscious "occurrence." In other words, So-wol casts works based on poetry through pretty sophisticated principles, and realizes aesthetic modernity through a way that consists of rhythm and time. Thus, although this paper admits that So-wol's literature cannot be viewed as a spectrum, it seeks to first focus on the problems of modernity that So-wol has. Later, he deduced So-wol's literary achievements through analysis of his works and organized his sense principles through "Si-hon."

한국어

본 논문은 소월시의 미적 근대성에 대한 논의를 감각론으로 재론하는 것에 방점을 두고자 한다. 가령 소월시에 나타난 정형율격의 시형이 외형적인 차원에서는 일정 부분 전통적이라 할지라도, 그것은 다시 ‘시혼’이라는 시인 내면의 차원과 마주치게 된다. 또한 시인 내면의 차원에서 시형이 새로운 시도에 대한 성공과 한계를 내포한다 할지라도 그것을 조율하는 것은 ‘시혼’이다. 다시 말해, 소월의 유일한 시론으로 간주되는 ‘시혼’ 개념은 피상적인 시적 의식을 넘어 ‘감각’되는 그의 작품세계를 다채롭게 만드는 ‘힘’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소월시를 둘러싸고 있는 전통적 리듬과 식민지시대 보편적 해석이 반영된 시어들 ‘집’, ‘ᄭᅮᆷ’, ‘나’에 대한 언어감각 재론을 통해 그것들이 감각론적 미학의 방증이 됨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활용했다. 소월의 각각의 작품들은 힘과 균열을 필연적으로 감각하게 된다. 그것은 자연적인 발생이 아니라 인위적이고도 의식적인 ‘발생’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다시 말해서 소월은 시혼에 기반한 작품을 꽤 정교한 원리를 통해 주물하며 그것을 리듬과 시어의 구성 방식을 통해 미적 근대성을 실현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소월의 문학을 하나의 스펙트럼으로 바라볼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그렇기 때문에 그가 가지고 있는 근대성 문제를 먼저 초점하고자 한다. 이후 소월의 문학적 성취를 「바라건대는대습보일ᄯᅡᆼ이잇섯드면」의 작품 분석을 통해 소월의 언어감각을 새롭게 추론하고 「詩魂」을 통해 그 감각 원리를 정리해 보았다.

목차

국문초록
1. 소월시의 근대성 문제
2. 언어감각 재론 : 파롤과 랑그의 역학관계
3. 감각의 원리 : '詩魂'과 '陰影'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웅기 Kim, Woong-Gi.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