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석조문화재 표면오염물 분류 및 정확도 평가 -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ccuracy Assessment and Classification of Surface Contaminants of Stone Cultural Heritages Using Hyperspectral Image - Focusing on Stone Buddhas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 Gyeongju -

안유빈, 유지현, 최명주, 이명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nsidering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creation of deterioration maps for stone cultural heritages,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chemical and biological contaminants in them is still challenging. Hyperspectral image analysis has been proposed to overcome this drawback. In this study, hyperspectral imaging was performed on Stone Buddhas Temple in Four Directions at Gulbulsa Temple Site(Treasure 121), and several surface contaminants were observed. Based on the color and shape, these chemical and biological contaminants were classified into ten categories. Additionally, a method for establishing each class as a reference image was suggested. Simultaneously, with the help of Spectral Angle Mapper algorithm, two classification methods were used to classify the surface contaminants. Method A focused on the region of interest, while method B involved the application of the spectral library prepared from the image. Comparison of the classified images with the reference image revealed that the accuracies and kappa coefficients of methods A and B were 52.07% and 63.61%, and 0.43 and 0.55, respectively. Additionally, misclassified pixels were distributed in the same contamination series.

한국어

초분광 이미지 분석은 석조문화재 손상지도 제작 시 화학적⋅생물학적 오염의 정량적인 면적 산출이 어려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다양한 표면오염물이 나타나는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을 대상으로 초분광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화학적⋅생물학적 오염 은 색상과 형태에 따라 10가지 범주로 구분하였고 범주의 참조 이미지 제작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오염물을 분류하기 위해 SAM 알고리듬을 사용하고 관심영역을 사용한 분류방법(Method A)과 영상 에서 추출한 분광정보를 라이브러리로 구축하여 분류하는 방법(Method B)을 적용하였다. 분류된 이 미지를 참조 이미지와 비교한 결과, 정확도는 분류 방법에 따라 52.07%와 63.61%, Kappa 지수는 0.43과 0.55로 산출되었고, 분류시 오분류 화소는 동일한 계열의 오염에 분포하는 경향을 보인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3. 초분광 영상 분류
3.1. 참조 이미지(Reference Image) 구축
3.2. 표면오염물의 분광 특성
3.3. SAM 기법을 이용한 감독분류
4. 고찰 및 결론
사사
REFERENCES

저자정보

  • 안유빈 Yu Bin Ahn.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유지현 Ji Hyun Yoo.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최명주 Myoungju Choie.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 이명성 Myeong Seong Lee.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