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UAV와 음향 측심기를 이용한 저수지 내용적 측량의 효용성 평가

원문정보

Evaluating on the Effectiveness of Reservoir Content Surveying Using UAV and Echo sounder

노태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reservoir is one of the important structures of infrastructures that could be not only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agriculture, industry, generation of hydroelectric power, and water supply by storing flowing water, but also developed as tourism resources. Even though the maintenance of reservoirs is regularly performed by each subject of maintenance, the original functions of reservoirs are declined by sediment that is unexpectedly generated by many factors like abnormal temperature and topographic change. Thus, in order for monitoring the securement of design contents of reservoir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of continuous maintenance, this study experimentally researched the reservoir content survey technique and content assessment results through the combination of UAV photogrammetry and bathymetric survey currently used a lot, and then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extracting data before/after discharging the water of reservoir through UAV and bathymetric survey, this study found differences of about 0.5%, and secured very high accuracy. Second, in case of applying this survey technique, compared to the existing observation technique by manpower, about three times more efficiency and economic saving effect could be expected, and the efficient maintenance direction for reservoirs could be suggested. Third, the reservoir content assessment and regular monitoring data using the UAV photogrammetry would be used as the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maintenance of reservoirs in the future.

한국어

저수지란 흐르는 물을 저장하여 농업, 공업, 수력발전, 상수도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관광 자원으로도 개발할 수 있는 사회기반시설의 중요 구조물 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저수지의 유지관리 는 관리주체별로 분류되어 정기적으로 수행되고 있지만, 이상 기온 및 지형 변화 등과 같은 여러 요인들로 인하여 예상치 못하게 발생 되는 토사 누적량에 의하여 저수지 본래의 기능이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지속적 유지관리의 중요 요소인 저수지의 설계 수량 확보에 관한 모니터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UAV 사진측량과 수심측량의 조합을 통한 저수지 내용적 측량 기법 및 내용적 산정결과를 실험적으로 연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UAV와 수심측량을 통한 저수지 방류전과 방류후의 제원 추출 결과 약 0.5%의 차 이를 알 수 있었으며 매우 높은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둘째, 이러한 측량 기법을 적용한 경우 기존의 인력 에 의한 관측 기법과 비교하여 약 3배 정도의 효율성과 경제적 절감효과가 발생되며 저수지의 효율적 유지관리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셋째, UAV 사진측량을 이용한 저수지 내용적 산정 및 주기적 모니터링 자료는 향후 저수지 유지관리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제공되리라 판단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 연혁
1.3 연구 방법
Ⅱ. 이론적 고찰
2.1 UAV 사진측량
2.2 수심측량
2.3 저수지 유지관리
Ⅲ. 현장 실험
3.1 연구지역 위치 및 관측 장비 제원
3.2 UAV에 의한 3차원 위치 결정
Ⅳ. 분석 및 효용성 평가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노태호 Tae-Ho Roh. 경남도립거창대학 드론토목계열 초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