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Petavatthu』를 통해 살펴본 餓鬼 개념과 圖像 성립

원문정보

Establishment of Concept and Iconography of the Buddhist Starving Ghosts through “Pettavathu”

박정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concept of the preta, the origins of this concept, and how one could seek salvation through preta, by analyzing the Petavatthu (Stories of Ghosts), one of the scriptures of the Pali Tipitka. Next, we examined how the preta icon became established through transformations of images of the preta in paintings and the process by which the ceremonial protocols of the Great Rite of Suryuk were formed and established.
Buddhism is a religion without any clear-cut concept of life after death. Through our examination of Petavatthu,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Buddhism borrowed the concept of the preta and salvation from śrāddha, the ancestral worship rite of Hinduism. The preta concept of hunger and starvation was gradually merged with the Chinese concept of gui (‘spirit of the deceased’ or ‘ancestors who are worshipped’), and was later translated into Korean as ahgui or ‘hungry ghost’. In Petavatthu, salvation must be realized through the ‘transfer of merit’. This approach to salvation is also mentioned in scriptures like the Ullambana Sutra Preached by Buddha and the Dharani Sutra for Saving the Burning-Mouth Hungry Ghosts.
The ‘emaciated and ugly’ representations of the preta commonly found in the main scriptures of Petavatthu and the Great Rite of Suryuk had begun to change by the time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as can be seen in royal court records on rites which describe the preta as a creature with a ‘thin neck and a fat belly’. By the time of the Southern Song Dynasty, this image of the preta had become fully established in religious texts, while the image of the ‘thin neck and fat belly’ of the preta became firmly established due to the practice of keeping records on the Great Rite of Suryuk. Furthermore, this image was transplanted into paintings and became rooted as the icon of the preta.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팔리 三藏(Pali tipiṭka)의 소부경전 중 『Petavatthu(餓鬼事/Stories of ghost)』를 통하여 餓鬼의 개념과 그 개념의 기원, 그리고 그 구제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회화작품 에서의 아귀 모습의 변화와 수륙재 의궤의 정리 과정 등을 통하여 餓鬼 圖像의 성립 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Petavatthu』의 내용을 통하여 死後觀이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았던 불교 교단이 힌두교의 조 상숭배 의식인 śrāddha에서 preta의 개념과 그 구제의 흐름을 받아들인 것으로 이해할 수 있었고 배고픔과 굶주림에 시달리는 preta의 개념이 이후 ‘굶주린 귀신’이라는 ‘餓鬼’로 漢譯된 것으로 추측 하였다. 그리고 『Petavatthu』에서의 기본적인 구제의 방법은 ‘공덕의 회향[merit transfer]’으로 정리 되며 이러한 ‘공덕의 회향’에 의한 구제는 『佛說盂蘭盆經』나 『佛說救拔焰口餓鬼陀羅尼經』등과 같 은 경전들에서도 언급되고 있다.
『Petavatthu』 및 수륙재의 소의 경전에서 공통적으로 ‘마르고 보기 흉한 모습’으로 서술되던 아 귀의 모습은 北宋대에 정리된 의궤에서부터 ‘목이 가늘고 배가 큰’ 아귀의 모습이 서술되고, 南宋 이 후의 작품에서 이러한 모습의 아귀가 확인된다. 이를 통하여 수륙재 의궤가 정리되는 과정에서 ‘목이 가늘고 배가 큰’ 아귀의 모습이 확립되었으며, 그것이 회화 작품에 영향을 끼쳐 아귀의 전형적인 도상으로서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

목차

Ⅰ. 머리말
Ⅱ. 餓鬼의 개념과 구제방법
Ⅲ. 餓鬼 圖像의 성립
Ⅳ.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정원 Park Jeongwon. 동국대학교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