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youth’s perception and use patterns of employment service institu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345 young people with experience using employment centers, university job centers, youth centers, and private employment service institutions that provide youth employment services were sampled. The frequency of use, types of services, satisfaction, similarities and images of institutions were surveyed to understand youth’s perception and use patterns of employment service institu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regression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employment services used by youths varied according to their level of education, employment status etc. Second, youths were aware of different similarities between employment services institutions based on their friendly image. Third, employment service institutions had different strengths according to their detailed attributes. Although the University Job Center had strong points in most attributes, the youth centers and employment centers have strengths relative to certain attributes. Finally, we discussed social consensus on the roles and functions of youth employment service institutions, strengthening governance of youth employment service institutions, and expanding services and programs for various youth.
한국어
이 연구는 청년들의 고용서비스 기관에 대한 인식과 이용 형태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관별 포지셔닝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년 고용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인 고용센터, 대학일자리센터, 청년센터, 민간고용서비스 기관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청년 345명을 대상으로 청년 고용서비스 기관 이용 빈도, 서비스 유형, 만족도를 조사 하였으며, 기관별 유사성 및 속성(서비스 품질)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와 다차원척도법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들의 고용서비스 이용 형태는 대학 재학 여부, 이용 기관 등에 따라 차별화되 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청년들은 고용서비스 기관들의 ‘청년 친화적 이미지’를 기준으로 기 관 간 유사성을 다르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청년 고용서비스 기관들은 세부 속성에 따라 다른 강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학일자리센터가 대부분의 속성에 강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청 년센터의 경우 커뮤니티, 취업스터디, 고용센터는 서비스 신뢰성, 취업상담 부분에서 상대적으 로 강점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 고용서비스 기관들의 역 할 및 기능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둘째, 청년 고용서비스 기관들의 거버넌스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고등학교 졸업자, NEET 등 다양한 청년들을 위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목차
Ⅰ. 서론
Ⅱ. 청년 고용서비스 체계 및 선행연구
1. 청년 고용 현황 및 문제점
2. 청년 고용서비스 및 전달체계
3. 청년 고용서비스 관련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1. 연구절차
2. 연구대상
3. 조사도구
4.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2. 청년 고용서비스 기관 이용 현황
3. 청년 고용서비스 기관 유사성 분석
4. 청년 고용서비스 기관들의 포지셔닝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