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Specialized College of Korea(SCK) project. For this stud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selected colleges in SCK projects, examined the educational performance of colleges using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and Difference-in-Differences(DID)method. Major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improvements in colleges in terms of college acceptance rate, dropout rate, number of start-up founders, and employment rate through the SCK project. Further analyzed these results by using PSM method, this project had a positive effect on enrollment rate of freshman and existing student in the short term and employment rate in the long term. Lastly, removed the temporal factor and found out that this project still had a positive effect in terms of college acceptance rate, enrollment rate of freshman. A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continuous and diverse studies to analyze the financial support project effectiveness. Next,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ject needs to be analyzed in consideration of qualitative aspects such as college reputation and awareness. Lastly, various indicators need to be improved disclosure of university information in order to confirm the various effects of this financial support project.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전문대학육성(SCK)사업의 효과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특성화전문대학육성지원사업의 선정대학과 비선정대학의 특성을 구명하고, 성향점수매칭 (PSM)을 활용하여 재정지원사업이 전문대학의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이중차 분법(DID)을 활용하여 재정지원사업의 순수효과를 구명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전문대학들은 SCK사업을 통해 신입생 경쟁률, 중도 탈락률, 창업자 수, 취업률 측면에서 개선이 있었고, 특 히 사업 선정대학이 비선정대학에 비해 신입생 경쟁률 및 충원율 등에서 평균값 및 증가폭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성향점수매칭 결과는 단기적으로 신입생 및 재학생 충원율에, 장기적으로는 취업률에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간적 요인을 제거하여도 신 입생 경쟁률 및 충원율에서 긍정적 효과를 보였다.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정부재정지 원사업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지속적이고 다양한 연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 평판, 인지도 등과 같은 질적 측면을 고려한 효과성 분석이 이루어져야 하며, 재정지원사업의 다양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대학정보공시 항목의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전문대학 재정지원사업과 특성화전문대학육성사업
2. 정부 재정지원사업의 효과성 분석
Ⅲ. 연구 방법
1. 분석모형
2. 분석자료 및 변인설정
3.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분석
2. 성향점수매칭(PSM)을 통한 사업효과 분석
3. 이중차분법(DID)을 통한 사업효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