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학습병행 제도의 연구동향 - 논리모형을 적용한 일학습병행 성과진단 모델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Research trends of Work-Learning Dual System in Korea

강선애, 어수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and analyze researches according to the areas and steps of the Work-Learning Dual System performance diagnostic model based on a logical model, to understand how much academic research is conducted by the process of input-process–output-outcome of policy, and to provide suggestions that will contribute to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system. The final 53 papers were selected from the domestic academic journal database since 2014 when this policy was enforced, and the papers were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method and contents of the research. The main point of view are as follows. The Work-Learning Dual System study has been mainly conducted in fields such as vocational education and engineering, but it needs to be advanced to a variety of fields, including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In addition to the existing research, such as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analysis of needs, there is a need for ongoing research to confirm the results at the learning workers and the national area related to resolving the labor market mismatch and the realization of a competence-based society, which are the ultimate goal of the system.

한국어

최근 우리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청년실업률, 노동시장 미스매칭 등의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는 일학습병행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논리모형을 기반으 로 한 일학습병행 성과진단 모델의 영역과 단계에 따라 연구물들을 구분하고, 분석하여 연구의 부족한 부분을 정리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제시 및 제도의 성공적 안착에 기여할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에 정책 시행 시점인 2014년부터 국내 학술지 데이터베이스에 게재된 일학습병행 관련 논문 중 최종 53편을 선정하였으며, 연구물 특성, 연구 방법, 연구 내용을 범주로 하여 논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일학습병행 연구는 2016년부터 그 수가 증가하여 연간 10여 편의 논문이 게재되고 있었고, 학술지 분류별로는 교육학 분야에서 연구가 많았는데, 실업교육/복합학, 공학/과학 분야에서 학 술지 수 대비 논문 빈도수가 높았다. 둘째, 참여자(학습근로자, 기업현장교사, 학교관계자 등) 대상의 연 구물이 많았으며, 양적연구와 질적연구가 동수로 나타났다. 셋째, 전략과제별로는 인프라 영역과 기업 영역에서 비교적 많은 양의 논문이 게재되어 있었고, 학습근로자 영역과 국가영역은 미진한 편이었다. 논리모형 단계별로는 투입단계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과정, 산출, 결과의 단계에 따라 순차적으로 논문의 수가 적게 나타남을 확인했다. 연구의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일학습병 행 연구는 실업교육, 공학 등의 분야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으나 인문사회, 예체능 분야까지 다양한 영역 에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에 많이 이루어진 프로그램개발, 요구분석 등 기반연구 뿐 아니라 제도의 궁극적 성과인 노동시장 미스매칭 해소, 능력중심사회구현과 관련한 학습근로자와 국가영 역에서의 성과들을 확인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검토
1. 일학습병행
2. 일학습병행 성과진단 체계와 논리모형
Ⅲ. 연구 방법
1. 자료선정과정
2. 문헌분석의 틀
Ⅳ. 연구 결과
1. 연구물 특성별 연구동향
2.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
3. 연구 내용에 따른 연구 동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선애 Seonae, Kang.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박사수료
  • 어수봉 Soobong, Uh.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