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농촌거주 노인들의 죽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융합적 연구 : 성별과 자존감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Convergence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on Death Anxiety in Rural Elderly : Focused on gender and self esteem

강영실, 홍은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 the factors influence death anxiety in rural elderly. A convenience sample of 170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12 local public helath clinic’s jurisduction in J city.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1.0. The average of age was 80.0±6.42. The average of self esteem and death anxiety were 3.3±0.58 and 2.5±0.32. Self esteem and death anxiety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r=-.173, p =.024). Gender(male)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death anxiety(β =.199, p =.009) and self esteem was the second predictor of death anxiety(β =-.171, p =.023). Gender(male) and self esteem explained total 5.8%(F=6.238, p =.002) of death anxiety. We demonstrated that gender(ma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ath anxiety in rural elderly. The finding of this study indicate a need to design and implement gender-specific interventions to reduce death anxiety through increasing self esteem in rural elderly.

한국어

본 연구는 농촌거주 노인들의 죽음불안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융합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 었다. J시에 소재한 12개 보건진료소의 관할구역인 농촌지역 읍․면에 거주하는 노인 총 170명을 편의추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회귀분석을 하였다. 전체 대 상자의 평균연령은 80.0±6.42세였고, 자존감은 평균 3.3±0.58, 죽음불안은 평균 2.5±0.32였다. 자존감과 죽음불안 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r=-.173, p =.024)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음불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성별(남성)과 자존감을 투입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성별(남성)이 죽음 불안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β =.199, p =.009), 다음으로 자존감이 죽음불안에 영향을 주었고(β =-.171, p =.023), 이들 두 변수는 죽음불안을 총 5.8%(F=6.238, p =.002) 설명하였다. 추후 보건진료소 단위의 관할구역 거주 노인을 위한 지역단위의 건강증진사업 수 행시 남성노인을 우선적으로 포함하여 자존감 증진 중재를 통해 죽음불안을 낮출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연구도구
2.4 자료분석방법
2.5 윤리적 고려
3. 연구결과
3.1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3.2 연구변수의 서술통계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구변수의 차이
3.4 연구변수의 상관관계 분석
3.5 죽음불안에 영향을 주는 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강영실 Young-Sil Kang.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건강과학연구원 교수
  • 홍은영 Eun-Young Hong.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