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관성센서를 이용한 여자핸드볼 선수들의 포지션별 움직임 분석

원문정보

Movement Analysis of Women’s Handball Players by Position using Inertial Measurement Units

박종철, 윤경신, 김지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intended to use the Inertia Sensor Units(IMU) for the national women's handball team to quantify movements for a total of 16 domestic or international practice games over five months and to identify the efficiency of training and differences in movements by position. A total of 15 players were participated excluding goalkeep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Player Load came in order of Wing>Back>Pivot and high in international games. Change of Direction(CoD) were found to have the most Pivot at low intensity, while middle and high intensity were the most in the Back. There have been a lot of low and middle intensity CoD in International games. Low-intensity acceleration(ACC) and deceleration(DEC) were found to have the most Pivot, while middle & high intensity ACC and DEC had the most Back. There have been many low and middle intensity ACC and low, middle and high intensity DEC in international games. There were many middle and high intensity jumps in Back and Wing,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types of games.

한국어

본 연구는 여자 핸드볼 국가대표 선수를 대상으로 관성센서(IMU)를 활용하여 5개월 동안 국내 또는 국외 연습경 기 총 16경기를 대상으로 움직임을 정량화하고 훈련의 효율성과 포지션별 움직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골키퍼를 제외한 15명의 필드플레이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플레이어로드는 Wing > Back > Pivot 순으로 나타났고 국외경기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좌‧우 방향전환은 Pivot이 저강도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중·고강도는 Back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다. 국외경기의 저·중강도 방향전환 움직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강도 가속과 감속은 Pivot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중·고강도 가속과 감속은 Back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외경기에서 저·중강도 가속과 저·중·고강도 감속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점프는 Back이 중강도, Wing이 고강도 점 프가 많이 나타났지만 경기 유형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자료수집 및 분석
2.3 통계분석
3. 연구결과
3.1 플레이어로드(Player Load)
3.2 방향전환(Change of Direction)
3.3 가속 & 감속(Acceleration & Deceleration)
3.4 점프(Jump)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종철 Jong-Chul Park.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선임연구위원
  • 윤경신 Kyung-Shin Yoon. 두산핸드볼팀 감독
  • 김지응 Ji-Eung Kim. 상명대학교 체육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