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potential user’s need for use and operational of the elderly day care center and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suggest development direction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320 ordinary people living in J-do through a questionnaire, and sought to understand the operational status of in-depth interview institutions for the heads and employees of six cent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potential user’s ware not aware of the functions and specific roles of day care center, the cost of facilities was covered by the government, and that facilities and the environment were important factors when using the center. In-depth interviews show that the current policy or system is far from reality and does not fit the status or role of the workers and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agency, requiring the re-establishment of the on-site syste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day care facilities requires active promotion and strengthening of family support for improving and enhancing awareness of day care facilities to citizens at the national level. Second,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should be enhanced through improvements in facilities and the environment that reflect users' needs. Third,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services by improving the poor employment conditions and treatment of workers to fit the realit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주간보호시설에 대한 잠재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이용욕구와 운영 현황을 파악하여 문제점 과 발전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J도에 거주하는 일반인 320명을 대상으로 기관 인식과 이용욕구를 설문지 로 조사하였으며, 6개 시설의 기관장 및 종사자에 대한 심층인터뷰, 기관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잠재이용자들은 주간보호시설의 기능 및 구체적인 역할에 대해 많이 인지하고 있지 않았으며, 시설비용 부담은 국가에 서 부담하며, 시설을 이용 시 중요한 요인은 시설 및 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인터뷰에서는 지금의 정책이나 제도 는 현실과 괴리가 커 종사자들의 지위나 역할 그리고 기관의 운영 상태와 맞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현장형 시스템의 재정립이 요구되고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간보호시설의 발전방향은 국가차원에서 시민들에게 주간보호시설의 인식 개선 및 제고를 위한 적극적인 홍보와 가족지원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이용자의 욕구를 반영한 시설과 환경의 개선을 통한 요양서비스의 질을 높여야 한다. 셋째, 종사자의 열악한 고용 여건과 처우를 현실에 맞게 개선해 요양서비 스의 질을 높여 나가야 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이론적 배경
2.1 노인 주간보호시설의 개념과 필요성
2.2 노인주간보호시설의 현황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연구도구
3.3 자료 분석
4. 연구 결과
4.1 잠재이용자의 설문조사
4.2 심층인터뷰 분석결과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