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Influence Factors of Positive Think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of Freshman Dental Hygiene Students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positive think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of freshman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ident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was identified and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investigat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to October 21, 2019 on 213 freshman dental hygiene students in Gyeonggi-do, Chungcheong-do, Jeolla-do, and Gyeongsang-do regions. According to the study,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freshman dental hygiene students' school adjustment was in the order of academic self-efficacy, positive thinking, and career program experience, a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were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was 47.7%. Since this study has been investigated and conducted on some freshman dental hygiene students,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the results, subsequent studies will require continuous study of various variables for positive thinking and academic self-efficiency to school adjustment. However, based on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used as data to supplement the prior study related to school adjustment, and by presenting factors related to the school adjustment of freshman dental hygiene students, it is thought that it became basic data that confirm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he school adjustment program
한국어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긍정적 사고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 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련성을 규명하며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치위생(학)과 신입생들이 학교생활 적응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9년 10월 1일부터 10월 21일까지 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 지역의 치위생(학)과 신입생 213명을 대상으로 임의추출 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긍정적 사고, 진로체험 경험 순이었고,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설명력은 47.7%이었다.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조사되어 연구를 진행하였기에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한계가 있어 후속연구에서는 긍정적 사고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토대로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보완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된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학교생활 적응 프로 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한 기초자료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절차
2.2 연구도구
2.3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긍정적 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 적응 정도
3.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긍정적 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 적응 차이
3.4 학교생활 적응, 긍적적 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
3.5 긍정적 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 고찰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