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티베트 밀교의식 늉내(smyung gnas, 斷食)

원문정보

Study on Nyung Nä(smyung gnas), Where Esotericism in Tibet

이방배, 강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t is a methods of practice for the Lord Ekādaśamukha Avalokiteśvara, belonging to the part of lotus flower of kriyātantra. In the main text, the sixteen methods of practice, which are the commentary of Mañjughosha, are considered in the order of Preparatory Ceremony, Actual Ceremony and Concluding Ceremony. In the Preparatory Ceremony, we looked at starting with the creation of maṇḍala and ending with the precepts of mahāyāna poṣadha, in the Actual Ceremony, we looked at Maṇḍala offering after meditation on the self-Generation(bdag bskyed) and on the Front Generation(mdun bskyed), and in the Concluding Ceremony, we examined the big frame of rules of behavior, focusing on Torma offering, two types of Ablution and Gathering a Maṇḍala. We looked at the Nyungne in the order of three Ceremony, we realized the wisdom of the śūnyatā, which the Ceremony implies, and we had the wisdom from a yoga with main object of veneration to turn afflictions into nirvana. Through this paper, the Western Amitabha Buddha was found to be the center of the world, and it became an opportunity to learn about the unique believe in and look up to of Four Buddhas, which is the Akṣobhya-tathāgata, Ratnasaṃbhava, Mahāvairocana, and Amoghasiddhi. The process of Gathering a Maṇḍala by requesting to leave or stay after the Deties of Offering an Ablution was extremely humanity and Buddhistic, The Ceremony of dismantling after offering a sand maṇḍala can be seen as a re-examination of the truth of śūnyatā of prajñā.

한국어

늉내(smyung gnas, 斷食)는 대비십일면관음을 주존으로 한 斷食 수행법으로 소작탄트라 중 연화부에 속한다. 만주고샤의 십육법에 따라 늉내를 예비 의례, 본 의례, 마무리 의례의 순서로 고찰하였다. 예비 의례에서는 壇의 설치를 시작으로 대승포살계를, 본 의례에서는 自生本尊(bdag bskyed)과 對生本尊(mdun bskyed)을 관상한 후 올리는 만다라 공양을, 마무리 의례에서는 똘마공양(gtor ma, 供養散會), 두 가지 관욕과 만다라 정리를 중심으로 작법의 큰 테두리를 알아보았다. 이와 같이 의례의 차제를 통해 늉내를 고찰한 것은 의례에 담긴 공성을 깨닫는 지혜와 본존유가로 번뇌를 열반으로 변화시키는 수행의 성취법을 밝히기 위해서이다. 본고를 통해서 서방 아미타불의 세간적 현현인 관세음보살을 중존으로 하여 동남서북 방향의 四佛 즉 아촉불, 보생불, 비로자나불, 불공성취불의 독특한 오불신앙을 알 수 있었으며, 늉내는 관욕을 마친 본존들을 떠나보내거나 상주하기를 청하면서 만다라를 정리하는 과정으로 마무리되는데, 여기에는 유정들의 신앙적 바램이 집약되어 있다. 그리고 모래만다라를 공양한 후 흩어버리는 반야공의 세계를 다시금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늉내의 예비 의례
1. 만다라 壇설치
2. 대승포살계
Ⅲ. 늉내의 본 의례
1. 자생본존(自生本尊, bdag bskyed) 관상
2. 대생본존(對生本尊, mdun bskyed) 관상
3. 만다라공양
Ⅳ. 늉내의 마무리 의례
1. 똘마공양(gtor ma, 供養散會)
2. 관욕
3. 만다라 정리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방배 Lee, Bang-bae. 위덕대학교 불교문화학과 강사
  • 강대현 Kang, Dae-hyun. 위덕대학교 밀교문화연구원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