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계축일기(癸丑日記)』와 『도사닛키(土佐日記)』의 일기문학의 환상

원문정보

Fantasy of the Diary Literature of 『KYECHUK Diary』 and 『TOSA Diary』

박윤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Kinotsurayuki” from the Heian period, the first Japanese journal that published before Western autobiographies, agonized over the exposure of his dual identity in the journal. The author of the 『KYECHUK Diary』 which represents the Court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was also in conflict by displaying a “twofold oneselves” in the tex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problem of dual identity between the author’s life and his writing, which appears in the text of the 『TOSA Diary』 and the 『KYECHUK Diary』 . After perusing the text of the two works, the actual writer and the narrator are divided, forcing the readers to feel a sense of incompatibility. This is because there is a narrator’s appearance technique that is reminiscent of “The Death of the Author” by Roland Barthes. The two diary literature forms describe themselves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 so this paper tries to take the paradoxical point of departure from the very opposite point of the traditional way of organizing the diary, and to consider the roles of the narrators of “Onna” and “Nain” in the text. The preface and epilogue of the 『TOSA Diary』 and the 『KYECHUK Diary』 are a diary literature technique that assume the reader’s understanding and a paradoxical statement that ruled out the aspects of the diary’s factual record and declared that it was fiction. ‘I’ll tear it apart as soon as possible’ at the end of 『TOSA Diary』 and ‘I write it down briefly’ in the 『KYECHUK Diary』 are a lie that expected to get caught. By this unusual structure of cheating one’s personal life through mentioning tearing it up quickly at the end or briefly recording it, the two diaries avoid responsibility while simultaneously producing fiction to create a diary literature. In the 『TOSA Diary』 and the 『KYECHUK Diary』 real-life authors described their identity through the setting of the pronouns of “Onna” and “Nain”. It is to provide a way to objectively describe himself as a real writer through a first-person narrator. It was both a split of the author’s subject and a reader-conscious attempt, and a kind of performance for “showing” expressed in the desire to share their special experience. In other words, the narrator of the 『TOSA Diary』 was transformed into a woman who was a transformation of sex, and the 『KYECHUK Diary』 into Nain, a transformation of status, which was also a division of their identity. It was also a way to create reading material by creating a new character, not a new me. The subjects of these two diaries in literature, the 『TOSA Diary』 and the 『KYECHUK Diary』 , are not like the subject of fiction and are clearly divided in the text. The text of the 『TOSA Diary』 and the 『KYECHUK Diary』 as diary literature was set against a chronicle, but the fictitiousness is striking because the author reconstructed it to reveal his intentions. In particular, the two texts were those that attempted to divide themselves by featuring “Onna” and “Nain” in the text as the locations of the narrator.

한국어

일본 헤이안시대의 최초 일기문학 작자인 기노쓰라유키(紀貫之)는, 『도사닛키(土佐 日記)』 속에서 자신의 정체성의 노출을 고민했다. 조선궁중문학을 대표하는 『계축일기(癸丑日記)』 의 작자 또한 텍스트 속에서 이중적인 ‘나’를 내보이며 갈등하고 있다. 본고 에서는, 두 일기문학 양식이 자신을 다른 시점으로 기술하며 전통적인 일기 구성 방식을 따르지 않은 점을 단초로 하여, 텍스트에 등장하는 ‘온나(여자)’와 ‘나인들(우리)’이라는 서술자의 역할을 고찰해 보고자 했다. 『도사닛키』 와 『계축일기』 의 서문과 발문은 독자의 양해를 상정한 일기문학적 기법이 며, 일기의 사실 기록이라고 하는 측면을 배제하고, 픽션인 점을 선언한 역설적인 발언이다. 자신의 신상을 속이고 마지막에 빨리 찢어버리거나 잠깐 기록했다는 이 색다른 구조에 의해, 두 일기 작자는 책임을 회피함과 동시에 허구성을 생산하여 일기문학을 창시한다. 『도사닛키』 와 『계축일기』 에서 실제작자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온나’와 ‘나인들’이라는 대명사적 주체의 설정을 통해 기술했다. 1인칭 서술자를 통해 실제작자인 자신을 객관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한 것이다. 작자 주체의 분열인 동시에 또 한편으 로는 독자를 의식한 시도였으며, 자신의 특별한 경험을 공유하고 싶은 욕망으로 표출된 ‘보여주기(showing)’를 위한 일종의 연기였다고도 할 수 있다. 즉 『도사닛키』 의 서술자 는 성(性)의 변신인 여자, 『계축일기』 는 신분의 변신인 나인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러한 변신은 자신의 정체성의 분열이기도 했다. 그로 인해 새로운 내가 아닌 새로운 작중인물 을 생성하여 읽을거리를 창조해 내는 방법이기도 했다. 『도사닛키』 와 『계축일기』 라는, 소설과 다른 일기문학의 주체는 텍스트에서 이처럼 분명히 분열되어 있다. 두 작자는 전통적 일기의 내러티브 구성 방식과는 정반대의 지점에서 출발하는 역설 적 일기의 방법을 시도했다. 당시의 모노가타리와 고소설을 탈구축하여, 스스로의 분열 을 통해 전통적인 일기의 규약을 거스르는 독특한 일기적 기법을 만들어 간다. 두 텍스트 의 일기 양식은 ‘나’의 진실을 기록하는, 분열에서 기인한 또 다른 글쓰기 방식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 일기문학의 ‘나’와 ‘나’
Ⅱ. 『계축일기』와 『도사닛키』의 역설
Ⅲ. 『계축일기』와 『도사닛키』의 분열
Ⅳ. 맺으며 – 봄비(春雨) 그리고 달빛(月影)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윤호 Park, Yoon-Ho. 순천대학교 일본어일본문화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