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A Risk Analysis for Seven Consumer Products Excluded in the Product Safety Certification System in South Korea

원문정보

2017년 도출된 안전관리 비대상 7개 제품에 대한 안전관리 필요성 분석

Seung Hyeon Shin, Jeong Hun Won, Tae Sang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risk level of non-managed products excluded from the Product Safety Certification System (PSCS) in South Korea and suggested the need of those products to be managed by PSCS. It focused on seven products including lawn trimmer, sickle, saw (saw blade), luggage carrier, snow chain, exercising ball, and alpine stick, which were found hazardous by the 1st Multi-ministries Product Safety Policy Council in 2017. The risk and need of safety management for each product were analyzed using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accident case analysis, and Delphi technique. We then modified the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opinions of stakeholders such as external experts, consumers and manufacturers and suggested which products should be included in PSCS. The results showed that an exercising ball and an alpine stick should be included in PSCS to manage the potential risks. Concerning an appropriate level of safety management for those products, an exercising ball should be managed by safety verification system while an alpine stick by supplier guarantee system. Besides, further study is needed for a luggage carrier regarding its need of safety management and testing item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2017년 제품안전정책협의회를 통해 발굴된 비관리 제품 중 예초기안전판, 낫, 톱(톱 날), 차량용 캐리어, 스노우체인, 짐볼, 등산스틱에 대하여 위해도를 분석하고 안전관리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제품 별 국내⋅외 관련 기준 및 사고사례 분석과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제품 별 위해 수준 및 안전관리 필요성을 분석한 후 분석결과에 대하여 외부 전문가 평가, 소비자 및 제조자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분석결과를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 안전관리 적용 대상 제품을 도출 하였다. 분석 결과, 등산스틱과 짐볼은 안전기준 제정을 통한 안전관리가 필요한 항목으로 도출되었 으며 안전관리 수준의 경우, 짐볼은 안전확인 대상, 등산스틱은 공급자적합성확인 대상으로 관리해 야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장기적인 관점에서 차량용캐리어에 대한 안전관리 필요성과 시험 항목 등에 대한 연구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생활용품 안전위기
2. 제품안전인증제도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2.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1. 제품 별 위해 수준 및 안전관리 필요성
2. 안전관리 필요성에 대한 외부전문가 및 이해관계자평가
3. 안전관리 대상 제품 선정
Ⅴ.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Seung Hyeon Shin Department of Safety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 Chungbuk, Korea
  • Jeong Hun Won Department of Safety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1 Chungdae-ro, Seowon-gu, Cheongju, Chungbuk, Korea
  • Tae Sang Kim Construction Technology Research Center, Korea Conformity Laboratories, 199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