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eal-life experience of the elderly who are vulnerable to suicid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elderly at risk of suicide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grounded theory method. Their life experiences were classified into 56 concepts, 16 subcategories and 6 categories and a paradigm model was proposed by axial coding. The paradigm model illustrated that “cumulative hardship” (causal condition) and “inescapable hopelessness” (contextual condition) are connected to “starving to death” (central phenomenon), along with “life strings” (intervening condition), “holding out” (action/interaction strategy), and “hope for a good death” (internal consequence). These results allowed us to understand the elderly suicide phenomenon through the cumulative disadvantage theory of aging and the theory of hopelessness depression. Moreover, we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ocial network in the community and provide the programs which stimulate the meaning of life and develop an optimistic view on life for the elderly vulnerable to suicide.
한국어
본 연구는 자살 위기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노인의 삶의 경험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자살 위험이 있는 춘천거주 노인 10명을 개별 심층면접하여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개방코딩을 통해 자살 위기 노인의 삶의 경험을 56개 개념, 16개 하위범주, 6개 범주로 도출하였고, 축코딩을 통해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였다. 패러다임모형에서 ‘누적되어온 고달픈 삶’(인과적 조 건) 속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절망감’(맥락적 조건)으로 인해 ‘죽음에 대한 갈망’(중심현상)을 경험하 고 있었다. ‘목숨을 이어주는 끈’(중재적 조건)으로 인해 삶을 버티어 내고 있었으며(작용/상호작용 전략), 깨끗한 죽음을 맞을 수 있기를 소망하고 있었다(결과). 본 연구결과를 통해 생애과정의 누적적 불이익 이론과 절망감 우울증의 관점에서 노인 자살 현상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노인자 살 예방을 위해 지역사회내 사회관계망의 구축 및 삶에 대한 재의미 부여와 삶에 대한 긍정적 관점 을 지닐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상담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선정 및 인적사항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4. 연구 윤리
Ⅲ. 연구결과
1. 인과적 조건: 누적되어온 고달픈 삶
2. 맥락적 조건: 벗어나지 못하는 절망감
3. 중심현상: 죽음에 대한 갈망
4. 중재적 조건: 생을 이어주는 끈
5. 작용/상호작용 전략: 버팀
6. 결과: 깨끗한 죽음을 고대함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