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The Auracentric Way: Flow Pattern of Five Orientations in Japanese Animation Film

원문정보

아우라 중심적 (Auracentric) 방식: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의 5가지 흐름 패턴에 대한 연구

Euisin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ccording to Perlmutter’s (1969) typology, Product Generation Style Dimensions have been developed. This paper attempts to extend previously developed Product Generation Style Dimensions by offering a new dimension called auracentrism. I propose that cutting rate in animated films moves from ethnocentric style of editing, polycentric style of editing, regioncentric style of editing, geocentric style of editing, and auracentric style of editing. It is extraordinary to see the all orientations in a single industry over time. This phenomenon is explored in animation films industry from 1916 to 2009.

한국어

Perlmutter (1969)가 제시한 유형학 연구에 따르면, Product Generation Style Dimensions가 제시된 바 있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에 제시된 Product Generation Style Dimensions 차원을 연장한 새로운 개념인 아우라 중심주의 차원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애니메이션 영화 산업의 편집 기술이 자국 중심주의 (ethnocentric style of editing), 현지국 중심주의 (polycentric style of editing), 지역중심주의 (regioncentric style of editing), 세계 중심 주의 (geocentric style of editing), 그리고 아우라 중심주의 (auracentric style of editing)로 한 단계 더 발전하는 것을 제 시한다. 한 산업에서 모든 차원들(dimensions)을 한번에 모두 관찰 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희귀 한 일이다. 이러한 현상을 1916년부터 2009년까지의 애니메이션 영화 산업을 통해 탐구한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y and Propositions
Ⅲ. Proposed Model
Ⅳ.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요약

저자정보

  • Euisin Kim 김의신. Kyung Hee Cyber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