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수출의 시장집중화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n Empirical Analysis on Determinants of Export Market Concentration: The Case of South Korea

민상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to find the determinants of the export market concentration in the case of South Korea.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the export market concentration or diversification has not been published in the analysis at a country level, while the previous researches are mainly related to the export product concentration or diversification. The research model is set up based on the relevant research and the export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export amount by country.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inward FDI, import, and GDP. The exchange rate is included as a control variable. The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four periods: 1985, 1995, 2005 and 2015.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South Korea's exports are closely linked to imports on a bilateral level. Outward FDI, inward FDI and GDP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ver the four periods. South Korea's exports are concentrated in countries with large outward FDI, large inward FDI and a large market size. On the other hand, the regio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ree periods except for 1985, and the exchange rate did not affect exports during the periods. In particular, South Korea’s export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outward FDI, and their relationships have been more closely related to the recent period. Outward FDI, also medi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orts and impor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outward FDI has also been stronger in recent years than in the past. On the other hand, inward FDI relationships are weakening and the mediation effec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outh Korea's exports are highly complementary to outward FDI. South Korea's exports have been concentrating in the countries with large outward FDI.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최근 다시 심화되고 있는 한국 수출시장의 집중화 현상에 주목하여 그 원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국가수준에서 수출시장의 집중화와 그 원인을 규명한 연구는 아직까지 발표된 바 없다. 이런 연유로 본 연구에서는 관련연구와 한국수출의 특징을 고려하여 연구모형 을 설정하였다. 종속변수를 한국의 국가별 수출실적으로, 독립변수를 해외직접투자, 외국인직접투자, 수입, GDP,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통제변수로 환율을 고려하였다. 분석자료는 1985년, 1995년, 2005년, 2015년의 4개 기간에 걸쳐 수집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의 수출은 쌍무적인 차원에서 수입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수입을 많이 하는 국가에 수 출도 많이 하는 패턴을 보이고 있다. 해외직접투자, 외국인직접투자 및 GDP는 4개 기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였다. 해외직접투자와 외국인직접투자가 많이 이루어지고 시장규모도 큰 국가에 한국의 수출은 집중하고 있다. 반면 아시아지역 국가에 대한 수출은 1985년을 제외한 3개 기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집중하였고, 환율은 모든 기간에서 수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특별히 한국의 수출은 해외직접투자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에 비해 최근 기간에서 수출과 해외직접투자의 관계는 더 밀접하였다. 또한 해외직접투자는 수출과 수입의 관계를 매개하는 작용을 하였다. 해외직접투자의 매개 효과도 과거에 비해 최근 기간에 더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외국인직접투자는 수출과의 관계가 점점 더 약화되고 있고 매개효과도 확인되지 않았다. 한국의 수출은 해외직접투자와 높은 보완 관계에 있고 해외직접투자가 많은 국가에 수출도 집중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목차

I. 서론
II. 연구 모형
III. 연구 방법
IV. 분석 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민상훈 Sang Hoon Min. 강남대학교 글로벌경영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