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 Analysis of Korean SMEs Investment in Vietnam : Case of T Footwear Company
초록
영어
Korea`s shoe industry has been steadily growing since the 1920s due to cheap and abundant labor. However, since the 1980s, exports and original equipment maker (OEM) orders started to decline because of Korea's rising labor costs and price competitiveness with Southeast Asian neighbors like China, Vietnam, and Indonesia. Therefore, domestic shoe factories, which have failed to overcome the high labor costs since 1980 had to move production bases to China, Vietnam, and Indonesia where labor costs are low. Thus, this research explored a Korean footwear company called the T company which is a renown shoe manufacturing company in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KOTRA), Vietnam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Vietnam Foreign Investment Agency, the research was to understand and examine the T company’s business strategy overbroad, especially in Vietnam. We explored the accumulated investment-related issues and changes in the Vietnamese market and business environment. Furthermore, we investigated strategies and plans for how to cope with this change. We analyzed and examined the T company's ownership, location, and internalization advantages, as an example, which based on the eclectic paradigm and economic trends of the Vietnamese government and the state of the footwear industry. Finally, we investigated the future investment trends by sector and region to assist potential companies in entering the prospective Vietnamese market.
한국어
한국의 신발산업은 1920년대 이후 저렴한 인건비 및 풍부한 노동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성장을 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한국의 인건비 상승과 동남아시아의 주변국인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와 가격 경쟁력에서 차이를 보이게 됨으로써,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OEM) 주문량이 줄어들기 시작하고 수출액 또한 감소세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1980년 이후 높은 인건비의 벽을 넘지 못한 국내 신발 공장들은 인건비가 저렴한 중국, 베트남, 인도네 시아로 생산 기반을 이전하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수출입은행,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베트남 통계청, 베트남 외국인 투자 청과 국내 중견기업인 T사의 지속 가능경영보고서를 기반으로 경공업 분야에서 베트남에 진출하고자 하는 국내 제조업 분야 중소기업의 투자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그동안의 축적되어온 투자 관련 이슈와 베트남 시장 및 기업 환경의 변화 등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있고 이 변화에 어떻게 대 처하는가에 대한 전략과 방안을 논의하였다. T사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한국 신발산업의 사업 현황과 베트남 경제 동향 및 신발산업을 비교 분석하여 베트남 진출에 있어 T사의 성공사례를 기반으로 향후 베트남 투자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목차
Ⅱ. 한국 신발의 역사와 사업 현황
Ⅲ. 베트남 경제 동향과 신발산업 및 시장규모
Ⅳ. T사의 사례
Ⅴ.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김경애(2016), “한국 중소기업의 베트남 진출 전략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69-286.
- 2김근상(2017), “한국기업의 베트남 진출 의사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3김성환, 배상욱, 이동대, 최원일(2001), “T사 주식회사의 국제마케팅 성공사례,” 마케팅관리연구, 6(2), 147-168.
- 4김종우(2012), “한국 중소기업의 베트남 시장 진출 전략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5브엉 순 디엡(2015), “한국 기업의 베트남 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탐색적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6해외시장에서의 기업특유우위 활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네이버 원문 이동
- 7오태영(2017), “국내 중소기업의 베트남 시장 진출 전략에 관한 고찰: 진출 현황과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8중국진출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 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절충이론을 중심으로네이버 원문 이동
- 9이준석(2007), “신발산업의 해외직접투자 결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경영논총, 28, 64-81.
- 10조우석(2012), “글로벌 신발산업의 현황과 국내 신발산업의 해외시장 진출 전략,” 동아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